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1년도

두타산 & 베틀바위(댓재-통골재-두타산-대궐터-베틀봉-무릉계)

두타산 & 베틀바위

산행 일자 : 2021년 6월 27일(일)

산행 구간 : 댓재-통골재-두타산-대궐터삼거리-대궐터-베틀봉-베틀바위전망대-무릉계 매표소(약 12.4Km)

함께한 이 : 왼발, 오른발 부부

 

두타산은 우리 부부가 백두대간 왕복종주를 하면서 두 차례 지났던 곳이다.

한번은 남진 진행시는 산행 후반부, 북진 진행시에는 어두운 새벽녁에 지났던 곳이다.

두타산에서 산성길 따라 진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런데 문제는 집에서 출발전부터 발생한다.

전날 팔공산 산행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날 음식을 먹었던 탓일까?

옆지기가 새벽에 갑자기 토하고, 설사까지 난리가 났다.

산행을 취소해야 하는가 고민을 한다.

잠을 제대로 자지도 못한 상태에서 옆지기는 그나마 진정이 되었다고 생각하여 주섬주섬 챙겨 산행에 나선다.

차량이동중 계속하여 잠만 자고 있는 옆지기

댓재 도착 후 출발전까지도 몸에 힘이 하나도 없다고 한다.

어차피 산행에 나선길 오늘은 쉬엄쉬엄 옆지기 보폭에 맞춰 진행한다.

평소보다 더 많은 음료와 간식거리를 챙긴 내 배낭의 무게도 장난이 아니다.

 

댓재에 도착했때 쨍쨍한 햇살이 오늘 더위가 걱정스러웠다.

그런데 댓재를 출발하고 30여분 지난 이후부터 갑자기 운무가 온 세상을 하얗게 덮어 버린다.

이러한 날씨가 옆지기에게는 도움이 되었을까?

초반 된비알길 없는 등로가 천천히 가는 우리에게 오히려 도움이 되었고, 서서히 되살아나는 컨디션

옆지기가 내게 말하길, '오늘 하루 산행취소하고 집에서 잔소리 듣느니, 차라리 힘들게 산행에 나서는게 낫겠다 싶어서 따라 나섰단다.' 

나중 컨디션 회복후에는 나오길 잘했다나~

 

어쨌든 두타산 정상을 지나 베틀봉으로 향하는 내내 조망은 1도 없고, 오히려 정상에서 점심을 먹는데 옆지기는 손이 시릴 정도로 춥다고까지 한다. 거기에 더해 베틀봉 진행중 소나기까지 내려 더 답답하게 한다.

 

베틀봉 정상을 지나 다 포기하고 베틀봉전망대로 향하는데, 왠걸, 갑자기 날씨가 쨍해지더니 베틀봉전망대에서의 뷰가 그 어느때보다 깨끗하고, 선명하다.

함께 같은 구간을 걸었던 다른 이들은 안개 때문에 제대로 볼 수 없었다고 한다.

우리에게 이러한 행운이 올줄 꿈엔들 생각이나 했겠나.

오늘 하루 힘든 컨디션으로 산행에 나선 옆지기에게 주는 보답이 아니었나 하는 감사한 하루였다.

 

댓재-두타산-베틀바위-무릉계(20210627).gpx
0.25MB
Track_두타산(2021-06-27).gpx
0.11MB
10:31 댓재 도착, 예전에 없었던 새로운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해발 810M
우선 인증샷부터 남기고
백두대간 댓재 표지석
댓재에서 두타산 6.6Km, 큰재 5.0Km
10:33  두타산 들머리 주차장으로 이동한다.
댓재 정상에는 카페가 운영중이다. 두타산 정상까지 6.1Km라고 되어 있다. 댓재 이정표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gps상 6.1Km가 맞다.
주차장을 가로질러 두타산 들머리 방향으로 진행한다.
10:35 두타산 들머리, 이곳에서 백두대간길은 우측 햇댓등 방향 진행이다. 그러나 오늘은 대간길이 아닌 관계로 그냥 직진 두타산 진행으로 간다.
두타산 방향으로 들어서면 곧바로
넓은 임도길을 만나 우측방향 진행한다.
10:40 임도길을 버리고 우측 숲으로 들어선다. 직진길에는 진입금지 표시로 조그마한 나무 몇그루를 심어 두었다. 몇년 후 저 나무들이 크게 자랄 듯 하다.
걷기 좋은 길을 계속 걷는다. 싱그러움이 그대로 몸속으로 들어오는 듯 하다.
10:46  햇댓등연결능선길 합류
우리가 댓재에서 0.9Km 진행해 왔고, 좌측 두타산 5.2Km 방향 진행이다. 우측은 햇댓등에서 오는 길이다. 대간 남진 당시 마지막 햇댓등으로 오르는 0.5Km가 정말 힘든 구간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등로는 좋기만 하고
전방의 봉우리는 또 우회를 하라고 한다.
룰루랄라길
10:52 잠시 내려서면
10:52 댓재에서 1.3Km 진행
앞에 보이는 작은 봉우리를 오르라 한다.
오늘 옆지기의 컨디션이 걱정이다. 천천히 뒤를 따른다.
11:00 첫번째 작은 봉우리에 올라선 후
컨디션 체크겸 한장 남긴다. 힘은 없지만 날씨가 시원해서 갈만하다고 한다.
올라선 후 잠시
능선길을 걷는다.
11:05 능선길을 진행하는데, 갑자기 운무가 몰려오는걸 순식간에 느낀다. 날씨가 예사롭지 않은데~
그래도 시원하고 편한 등로를 걸으니 옆지기의 서서히 컨디션이 회복되겠지
이제 아예 숲길까지 운무가 침범하고 들어선다.
11:13 이정표가 있는 봉우리를 올라
살아 있는 나무의자에 앉아 시원한 식혜를 마신다.
이 지점이 댓재에서 2.2Km 진행해 왔다. 아직까지 등산로는 무난하고 걷기에 딱 좋다.
구름은 걷힐 생각을 않는다. 그러나 오히려 시원함이 도움이 된다.
11:18 백두대간 진고개에서 동대산 지나 차돌배기 바위를 지나는 듯한 느낌의 바위도 지나고
아름드리 소나무는 우리를 응원하는 것이겠지???라고 믿고 간다. 밧줄난간이 있다는 것은 우측이 절벽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니 그냥 무덤덤하게 지난다.
그래 나름 운치 있는 멋진 길이라 믿고 걷는다.
11:22 조망처가 나오는데, 이곳이
삼각점봉이다. 
이곳에서의 조망이 일품인데, 오늘은 보이는바와 같이 안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삼각점봉을 내려서고
등로가 약간 거칠어 지는듯 하더니
11:27  이정표가 나오는데, 예전에는 이렇게 이정표가 잘되어 있지 않았었는데~
댓재에서 2.8Km 진행이다. 댓재를 출발한지 아직 한시간이 지나지 않았다.
이정표에서 우사면으로
고도를 떨어 뜨린다.
11:32  옆지기가 나를 기다리고 서 있다. 내 배낭 무게가 걱정이 되는가 보다. 그렇다고 자신이 무게를 줄여줄 수 있는 입장이 아니란다.
자 한컷 남기고 또 이동한다.
11:39 잠시 후 이정표를 만나게 되고
댓재에서 3.5Km, 이제 두타산 2.6Km 남았다. 아직 옆지기 컨디션은 온전하지 않지만 괜찮은 편이다. 그동안 산행구력이 있는데~
완만하게 내려서는 길은
11:46 목통령, 통골재에 도착하게 된다.
목통령(통골재) 댓재에서 4.0Km, 두타산 2.1Km 남았다. 이곳에서 약 700M 구간 된비알 오름이 오늘 옆지기에게 난제이다.
백두대간 통골재 인증합니다.
인증 후 배낭에서 시원한 자두를 꺼내 나눠 먹는다. 벌써 계절이 자두를 먹을 때가 된 것이다.
11:52 통골재를 출발한다. 다음 이정표 두타산 1.4Km 지점까지 된비알오름길이 이어진다. 컨디션이 좋을 때는 크게 어렵지 않은데, 오늘 옆지기의 컨디션이 문제다.
천천히 한걸음 한걸음 옮기고 있는 옆지기가 대견하다.
오름은 쉬이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경사가 있는 곳에는 밧줄난간이 설치되어 있고
경사는 더 심해진다.
12:18 다 올랐다 싶을 때 저 앞쪽으로 가면
통골재 0.7Km, 두타산 1.4Km 이정표가 있는 쉼터이다. 이곳에서 이정표 없는 좌측 능선길로 오르면 1243봉 능선길로 오를 수 있으나 오늘은 조망도 없을 뿐더러 옆지기의 컨디션으로는 갈 수도 없는 날이다.
그냥 두타산 정상을 향해 직진이다.
일단은 우사면길로 평탄하게 진행된다.
12:26 잠시 후 1243봉에서 내려오는 길과 합류된다. 좌측이 우리가 진행해 온 길이고, 우측에서 내려오는 길이 1243봉 능선길이다.
완만해 보이던 길이
본인도 모르게 서서히 고도를 높이고 있음을 뒤늦게 느끼게 된다.
완만하지만 은근히 힘든 오르막이 계속 이어진다.
12:44  나무난간 계단길이 나오면서
12:45 샘터갈림길을 통과하게 된다.
우측 90m 지점에 샘터가 있다.
안개가 자욱한 넓은지대를 지나면
12:46 두타산 정상에 도착하게 된다. 사방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정상에는 사람들이 북적거리고 있다.
댓재(삼척)에서 6.1Km 진행해 왔고, 백두대간 청옥산은 3.7Km 남았으나, 오늘 우리는 상관이 없고
오늘 우리는 무릉게곡 6.1Km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댓재와 무릉계곡 딱 중간지점이 두타산 정상이네!!!! 사람들이 인증을 기다리고 있어 헬기장 위에서 우선 점심식사를 하기로 한다.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면서 한기를 느낄 정도이다. 옆지기는 손이 시릴 정도라고까지 한다.
13:07  점심식사를 마치고, 사람들이 없는 틈을 이용해 두타산(1353M)정상인증을 한다.
100명산 두타산 정상 인증합니다.
포즈도 바꾸고
예전에 없었던 정상석도 하나 더 생겼다.
부부도 한컷 남긴다.
13:12 두타산 정상 헬기장 방향으로 무릉계곡길을 따라 내려간다. 이제부터 급내리막길 하산길이 더 위험하다.
등로는 물기에 젖어 굉장히 미끄럽다.
아뿔사 설상가상으로 비까지 내린다. 급히 배낭에서 치마우의를 꺼내 걸친다. 옆지기는 치마우의를 걸치니 따뜻하고 좋단다.
13:27 조망처에 나오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청옥산과 연칠성령 고적대 방향 능선이 보인다 생각하고 한컷, 치마우의를 걸쳤다.
13:28  주능선길 표지판 두타산코스 1-8, 이후 나는 스틱을 접어 배낭에 넣는다. 손이 편해지니 카메라 꺼내는게 한결 수월한다.
13:30 대방골갈림길 통과, 무릉계곡 방향 직진이다.
13:31 갈림길에서 좌직진이다.
13:35 두타산 코스 1-7
13:38 좌측 조망점이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오히려 뒤를 돌아보니 내려온 두타산 정상부가 잠깐 얼굴을 보여준다.
13:41  천은사갈림길(쉰음산갈림길) 통과, 좌직진 무릉계곡방향 진행, 이곳에서 우측으로 빠질 경우 쉰음산으로 연결된다.
구름이 자욱한 능선길을 진행한다.
13:48 좌측으로 급내리막길이 정체되면서 전방의 소나무에서 한컷 담아 본다.
구름이 능선을 넘실넘실 좌우로 넘나들고 있다.
진행방향 능선길, 좌측 급내리막길 진행이다.
13:53 굉장히 미끄러운 내리막길이다.
반대로 올려 담아 본다.
능선길도 돌멩이와 바위가 많아 미끄럽다.
13:59 성터의 흔적들이 나온다.
14:02  대궐터삼거리 통과
대궐터삼거리, 두타산코스 1-6지점,
대궐터삼거리에서 정상적인 등로안내는 좌측 무릉계곡관리사무소로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정표 뒤 돌탑방향으로 직진 진행을 한다. 대부분의 산객들도 시그널이 많이 붙어 있는 이정표 뒷길을 이용하고 있다.
등로는 분명하게 잘 나 있다.
14:07 성터 위를 지나게 된다.
멋진 조망처를 지나가 보는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바위틈에서도 자라고 있는 생명력이다.
14:14  두타산코스 1-3-4 지점 통과
바위가 넘어지면서 소나무에 부딪힌채로 멈춰서 있다.
힐링의 숲길을 진행한다.
14:25 무릉계곡방향 진행
위 같은 지점에 있는 두타산코스 1-3-3 표지판
미끄러운 길을 조심스레 내려선다.
14:30 대궐터 통과
대궐터에서 좌측 무릉계곡관리사무소를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대궐터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지 않고 이정표 뒷길 시그널 많이 붙어 있는 직진길로 진행한다. 그래야만 베틀봉으로 갈 수 있다. 베틀봉으로 가는 등로는 분명하게 잘 되어 있기에 알바할 우려는 없다.
14:33 베틀봉 정상 도착, 길주의 구간) 베틀봉 좌우로 두갈래 길이 나뉘면서 양쪽 모두에 시그널이 붙어 있다. 결론적으로 보면 두 갈래길 모두 베틀바위전망대로 가는 길이 맞다. 좌측(베틀바위전망대1)으로 가면 조금 더 돌아가는 것이고, 우측(베틀바위전망대2)으로 갈 경우 거리가 짧다고 보면된다. 나는 선답자 블로그상 좌측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좌측으로 진행을 했는데, 진행해 보니 우측으로 진행하는 것이 거리가 짧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틀봉에서 좌측 진행과 우측(붉은색) 진행 결과
베틀봉(786M) 정상석과 표지판
뭐라고??? 자세를 잡기도 전에 찰칵해 버린다. 뭔가 불만이 있는가???
우리는 사전에 공부한 내용대로 베틀봉에서 좌측 무릉계(3.2Km, 1시간 20분) 방향으로 내려간다. 어떤 남자 한분이 베틀바위로 가겠다면서 양갈래 길에서 고민을 하고 있었다.
좌측 무릉계 방향으로 내려서면 바로 자갈길 내리막길이 이어진다.
자갈길 이후 등로는 양호해 지고
성터흔적이 있는 길을 걷는다.
14:44  베틀바위전망대(1) 지점 도착, 이곳부터 등로는 일반관광객들을 위해 조성된 듯 넓고 깨끗하게 이어진다.
우리가 내려 온 곳이 '등산로아님' 방향에서 내려 온 것이다.
우리는 우측 베틀바위 전망대 1.1Km 방향 진행한다.
등로가 너무 좋아지니 어리둥절할 정도이다.
거의 임도 수준이다. 앞쪽에 아빠가 어린딸을 데리고 오고 있다.
옆지기도 열심히 내려오고 있다.
너덜지대를 이렇게 정비해 두었다.
14:54  베틀바위전망대(2)지점 통과
이곳이 베틀봉에서 우측길을 따를 경우 내려오는 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곳 역시 '등산로아님'표시가 되어 있다. 그렇다고 출입금지 형태로 막아 놓은 것은 아니다.
우측이 우리가 진행해 온 길이고, 좌측 등산로아님 방향이 베틀봉에서 우측으로 바로 내려오는 길인듯 하다. 이제 베틀바위전망대 0.3Km 방향 진행이다.
이정표 좌측에 조망바위가 있지만 안개로 보이는게 없어 그냥 패스한다.
베틀바위전망대 방향으로 내려간다.
좌측으로 무릉계곡이다.
14:59  미륵바위갈림길
미륵바위를 둘러보고 되돌아와 매표소 1.5Km 방향 진행이다.
14:59 미륵바위
바위의 모형이 부처님 얼굴을 닮았다.
미륵바위에서 건너편 그림폭포를 조망해 본다. 아무것도 볼 수 없을거라는 우려는 씻겨 주듯 안개가 걷히기 시작한다.
무릉계곡 방향으로 한컷
우측의 그림폭포 방향으로
미륵바위 밴치에서 과일을 먹으며 잠시 쉬어간다.
15:09 미륵바위를 떠나 매표소 방향 1.5Km 방향으로 본격 하산을 시작한다.
돌길을 넘어서면
곧바로 급내리막 계단이 기다리고 있다.
아찔하게 내려선다. 저 아래서 힘들게 두 사람이 올라오고 있다. 계단 간격 높이가 높아서 꽤나 힘들듯 하다.
계단이 없는 곳은 미끄러운 모래로 위험하다. 내려오는길에 어떤 아주머니 한분이 왼발에 부목을 대고 소방대원 3명과 어떻게 하산을 해야 할지 고민을 하고 있었다. 결국 산악구조대가 올라와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우리가 매표소에 하산했을 때 산악구조대가 준비를 하고 있었다. 모두에게 힘든 일일듯 하다.
15:15 베틀바위전망대 도착, 이곳에 도착하니 날씨가 더 밝아졋다. 
미륵바위에서 0.2Km, 정말 급내리막길을 내려왔다.
베틀바위가 온전한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우선 카메라로 베틀바위를 담는다.
핸드폰으로 담아 본다. 훨씬 밝아졌다.
잠시 후 아래쪽 베틀바위전망대 데크로 내려선다.
베틀바위 안내도
와우~ 연발이다. 천하비경 장가계를 언급하고 있다.
맨우측이 '그림폭포'이다.
우측 맨위가 미륵바위가 있는 곳이다. 저 위에 올라가 우리가 사진을 찍은 것이다.
15:26  베틀바위 전망대를 떠나면서
전망대에서 또 아찍한 계단을 내려선다.
여기도 한컷 남기라고 나를 불러 세운다. 그러면서 하는 발, 내가 센스가 떨어졌다나???
회양목 군락지를 지나고, 미륵바위 부근에도 회양목이 있었다.
내리막길 조망처에서 좌측의 베틀바위와 우측의 베틀바위전망대를 담아 본다.
15:33 내려가는길(옛길), 올라오는길 갈림길, 대부분의 사람들이 올라오는 길로 내려가고 있다. 우리도 따라서~
내려가는 길도 결코 만만치 않다.
미끄러운 급내리막길이다.
15:39 베틀바위 0.8Km
무릉계 매표소 주차장이 조망된다.
15:43 매표소 0.6Km
등로가 구불구불 이어진다.
15:47 매표소 0.4Km, 옆지기가 이러한 형태의 길을 지루해 한다. 
15:48 숯가마터를 지나고
쉼터를 내려서면
15:53 들머리 이정표, 산행은 끝이다.
베틀바위 산성길 들머리 전경
오늘 하루 고생하셨습니다.
무릉교 상단부에 있는 무릉반석이다. 오늘은 패스한다.
15:54  무릉계곡 매표소 통과
무릉계곡 입구,  설악산과 비슷한 상징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