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1년도

도락산(내궁기-도락산-내궁기)

도락산

산행 일자 : 2021년 10월 17일(일)

산행 구간 : 내궁기마을-도락산-내궁기마을 원점회귀

함께한 이 : 왼발, 오른발 부부

 

오늘도 부부는 1일 3산에 나선다.

강원산간 및 중부내륙에 한파주의보가 발령된 상황이다.

아직 꺼내지 못했던 겨울옷을 꺼내 입는다.

아이젠만 빼고는 겨울산행이다.

 

오늘 일정은 07:00경 도락산을 시작으로 금수산, 원주 감악산까지 3산이다.

새벽 04:00 기상벨 소리에 맞춰 배낭을 챙겨들고 집을 나선다.

다행히 오늘은 바람이 없다.

 

도락산 최단코스로 알려진 내궁기마을 하룻밤궁궐터 펜션을 찍고 이동한다.

우리가 도착하니 아직 아무도 없다.

채비를 마치고 나자, 서울에서 어떤 부분도 차를 끌고 들어 온다.

우리가 하산할 즈음에는 제법 여러대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하산길에 여러명의 사람들과 인사도 나누었다.

 

이 코스는 한마디로 익스트림 코스였다.

절벽 오름길에 조망 또한 압권이었다.

오늘 우리가 도락산 정상을 가장 먼저 올랐다.

2시간이 안걸려 내려와 서둘로 금수산으로 향한다.

정상에서 만난 남성 두분도 금수산으로 오겠다면서 그곳에서 볼 수도 있겠다고 하신다.

결국 만나지 못했지만

 

절벽에 걸쳐 있는 명품송이다.
오늘 1일 3산 이동경로
06:53  내궁기마을 들머리, 차에서 내리는데 영하권의 날씨라기 보다는 더 낫다. 어제 황악산에서의 강풍과 추위가 더 무서웠다. 오늘은 바람이 전혀 없다. 
도락산 탐방로 따라 진행하면 된다.
06:53  포장길을 버리고 우측 산길로 들어선다.
월악산국립공원 지구이기 때문에 안내표시는 잘 되어 있다.
초반 등로는 산책길 수준으로 진행된다.
07:00  서서히 돌멩이가 나오기 시작한다.
앞쪽에 이정표가 나오는데
07:00 내궁기 0.4Km, 도락산 1.3Km, 내궁기에서 도락산 정상까지 1.7Km 최단거리인 것이다. 그러나 난이도는 최단이 아니라 최상 난이도이다.
계곡길을 건너는데, 흐르는 물소리마저 차갑게 들려온다.
계곡을 건너면서 본격적인 된비알길 오름이 시작된다.
07:02 이러한 난간은 처음이지??? 이제부터 시작이야~
07:04 오늘 첫 인증샷이다. 온몸으로 부드럽게 느껴지는 아침햇살을 맞이한다. 이 시간대에만 맞이할 수 있다.
저 뒤로 황장산 방향의 백두대간 능선위로 아침햇살이 비춰지고 있다. 앞쪽 능선이 만기봉,중미산,식기봉 능선이다.
뾰족하게 튀어 나온 봉우리가 황장산일 것이다.
저 뒤로 황장산에서 우측 대미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길
오름길 좌측으로는 채운봉에서 도락산으로 올라오는 능선길이다.
이런 오름길은 양호하다.
본격적으로 올라보세나~
07:09  해발 621M로 올라섰다.
내궁기에서 0.5Km 지점이다. 겨우 100M 올라섰다.
이정표 앞에 서 있는 첫번째 명품송이다.
명품송과 황장산
방향을 바꿔서 담아 본다.
07:11 명품송을 출발한다.
통나무계단길이 나오고
저 앞쪽에 철계단 오름길까지 세트로 나온다.
철계단은 하부가 공중에 붕 떠 있다.
이 철계단을 오르는데, 영하의 기온 때문인지 등산화 바닥이 철계단 바닥을 내딛을 때 마다 쩍쩍 달라붙는다. 그러나 영하의 날씨에도 바람이 없어 체감온도는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딱 땀이 나지 않을 좋을 정도였다.
철계단 오름길에 뒤를 돌아 본다. 중앙 저 뒤로 아마 대미산(1115M)일것 같다.
황장산(1078M) 방향으로
아예 한장에 담아 본다. 멋진 백두대간길이다.
철계단 상단에서 내려다 본다. 아찔하다.
그리고 다시 이어지는 된비알 난간길
거친 된비알길이 계속 이어진다.
헥헥 거리며 능선길로 올라서서
또 다시 뒤쪽의 조망을 돌아 본다. 바로 아래 내궁기마을이다.
아슬아슬하지는 않지만 내궁기 마을을 배경으로, 결국 사진을 찍기 위해 제쳐두었던 소나무 가지로 얼굴을 한번 맞았다는 옆지기님, 죄송합니다.
대미산 방향으로
황장산 방향으로
그리고 다시 진행
자꾸 뒤로 눈이 간다. 좌측으로 문복대이고, 중앙 움푹하게 들어가 고개가 벌재이다. 황장산에서 벌재 구간은 비탐방구간으로 묶여 있다.
벌재를 당겨 본다. 벌재에서 좌측 문복대로 올라가는 능선까지 조망된다.
옆지기는 두번째 명품송 앞에서 대기중이시다.
대미산 방향
아침햇살이 부서진다. 앞쪽은 황정산(959M)에서 수리봉(1019M)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이어지는 난간 오름길
난간이 없다고 결코 쉽지는 않다.
거치 바위지대를 오르고
다시 난간을 올라서고
직벽 바위는 우회를 한 후
07:33 내궁기에서 1.0Km 진행했다. 도락산 0.7Km, 이정표 뒤로 우회를 할 수 있지만
앞쪽 암릉지대로 올라서면
이런 멋진뷰를 바로 맞이할 수 있다. 좌측 봉우리가 채운봉이다.
앞쪽으로 황정산에서 수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길
옆지기는 고사목 앞에 올라 서 있다.
햇빛이 위가 아닌 옆으로 비춰지니 산 능선의 구별이 확실해진다.
맞은편 으로 우리가 올라서야 할 직벽 구간이다. 좌중간 소나무 지대를 치고 올라 움푹 들어간 능선길까지 오른다.
급내리막 난간을 잡고 조심스레 내려선다.
먼저 옆지기를 내려보내 세워 보고
아침 햇살이 따사롭게 내리 쬔다.
황정산에서 수리봉 방향의 조망이다.
조금 전 옆지기가 서 있었던 장소로 내려서고
전방의 난간을 내려와 된비알길 오름을 앞두고 뒤를 돌아보는데, 어~ 이 장소가 명품존이다. 
내려왔던 곳으로 다시 옆지기를 올려 세운다. 투덜거리면서 다시 올라가는 옆지기
그래서 한 컷 더~
07:39  다시 된비알 오름길 시작이다.
비탈면을 오르고
너덜길도 계속하여 오른다.
쓰러져 가는 된비알길을 한번 더 오르고
또 오른다.
07:45  한참 헐떡거릴 때
좌측 채운봉 방향이다.
다시 시작되는 난간길 오름, 어?? 그런데 이곳은 살짝 살얼음이 있는 듯 하다.
조심조심 미끄러운 오름길을 오른다.
위에서 보니 더 힘들어 보인다. 힘들게 오르고 있는 옆지기
그래도 조망은 멋지다.
그래서 부여잡고 한번 더 오르고
힘들면 뒤를 한번 돌아보고
옆지기에게도 기회를 한번 더
근데, 또 한번 된비알길 오름
능선이 보이는 듯 하다. 갑자기 트랭글 배지획득 알림음이 울린다. 신선봉이 근처라 배지를 주는 듯 하다.
07:51 능선삼거리에 올라선다. 내궁기마을에서 약 1시간여 소요되었다. 사진 작업 없이 올라온다면 더 빨리 왔을 수 있겠다.
해발 908M
내궁기삼거리라고 되어 있다. 도락산 0.3Km, 좌측 도락산삼거리는 상선암코스에서 오를 경우 도락산 정상으로 오는 갈림길이다. 예전 옆지기와 함께 상선암휴게소를 출발하여 상선삼봉, 제봉 능선으로 올라, 도락산삼거리에서 도락산 정상 인증 후 다시 도락삼삼거리로 되돌아가 채운봉, 검봉을 거쳐 상선암휴게소로 진행한 적이 있었다.
내궁기삼거리에서 우측 도락산정상부를 조망해 본다. 아직도 더 가야 하는 것이다.
영하의 날씨에 땅이 얼어 붙었다.
내궁기삼거리에서 나무다리를 건너게 된다.
다리위에서 우측 벌재 방향이다.
햇빛이 없었다면 저런 음영도 나오 않았을 것이다.
옆지기님, 벌써 맞은편 바위에 올라서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각도로 한장 더 남겨 드리고
다리를 건너와 내궁기삼거리 방향을 뒤돌아 본다.
어제 내린비가 얼어 고드름이 맺혔다. 이런 길을 잘못 디뎠다간 큰일 난다.
도락산 정상을 가기 위해 잠시 다시 오름길 진행이다. 쉬운 길이 없어~
햇빛 찬란한 능선길에 올라선 후
부서지는 아침햇살 길을 걷는다.
07:59 도락산(964M) 도착, 두 번째 도락산 인증이다.
이정목에는 962M로 되어 있다.
도락산에서 황정산으로 갈 수도 있지만, 그 길은 비탐방로이다.
도락산 인증합니다.
08:17 도락산에서 내궁기로 내려가는 길에
올라갈 때 담지 못했던 내 모습도 담아 본다. 벌써 햇빛이 달라졌다. 
08:29 첫 번째 명품을 지나
08:38 하룻밤궁궐 펜션이 있는 내궁기마을로 내려와 오늘의 산행을 종료한다. 오늘은 영하의 겨울이라 땀도 흘리지 않고 좋았는데, 한 여름철에 이 구간을 진행하면 굉장히 힘들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아무튼 익스트림 코스로는 최고의 코스였다. 이제 두 번째 여정인 금수산으로 향해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