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1년도

달마산(마봉리-도솔봉-도솔암-떡봉-귀래봉-달마봉-미황사)

해남 달마산

산행 일자 : 2021년 6월 5일(토)

산행 구간 : 마봉리주차장-도솔봉-도솔암-떡봉-하숙골재-귀래봉-대밭삼거리-문바위-달마봉-미황사(약 9.3Km)

함께한 이 : 왼발,오른발 부부

 

2014년 송촌마을에서 땅끝마을까지 달마종주를 한 이후 두번째 찾는 달마산

이번에는 마봉리약수터주차장에서 도솔암으로 올라 달마봉에서 미황사로 내려서는 역방향 코스를 진행한다.

 

서울에서 해남까지 멀고도 먼 길을 달려 6시간 여만에 마봉리약수터주차장 도착하니 12:20이다.

거기에 구름과 안개까지 끼어 조망이 아주 엉망인 상태

깨긋한 남도의 조망을 생각했기에 실망이 먼저다.

 

어찌됐던 차량에 내려 화장실 한번 들른 후 곧바로 도솔봉을 향해 출발,

옆지기는 벌써 출발하고 보이지 않는다.

마봉리약수터주차장에서 도솔암주차장까지 약 2.5Km 거리는 포장길 자동차가 다니는 경사길을 따라 오른다. 

도솔암주차장에서 사실상 달마산 산행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래도 도솔봉 이후 도솔암을 지나면서 약간씩 조망이 터지면서 위안을 삼는다.

바람은 약간은 선선하면서 습도는 거의 95% 수준이다.

축축하고 시원한 느낌이다.

 

도솔암에서 떡봉과 귀래봉을 지난 지점까지는 그래도 괜찮은 등로

 이후 대밭삼거리 이후 문바위재를 지나기까지 암릉은 달마산의 본 모습을 충분하게 보여준다.

구름과 안개로 인해 등로는 굉장히 미끄럽고 위험하기까지 하다.

그러다 보니 후반부 진행 속도는 더디게 진행될 수 밖에 없다.

다행히 4시간 20여분만에 미황사 도착, 거리는 짧지만 산행은 강렬했던 달마산 산행을 마친다.

 

이후 다시 5시간을 달려 서울 도착, 차량이동 시간만 11시간

산행 때문이 아니라 차량 이동과정에서 너무나 힘들고 피곤하다.

내일도 곡성 동악산을 예정하고 있는데~

 

 

해남 달마산미황사 대웅보전
달마산(20210605).gpx
1.33MB
12:19 마봉리약수터 주차장 도착, 약수터 뒤로 화장실이 있다. 화장실부터 먼저 들른다.
화장실을 다녀오니 옆지기 마저 출발하고 아무도 없다. 저 앞쪽 달마산은 구름속에 갇혀 있다.
마봉리약수터 주차장에서 도솔암까지 3Km를 알려주고 있다.
12:22 주차장 위 마지막쉼터 카페가 유일하게 식음료를 살 수 있는 곳이다.
카페 앞 달마산,달마고도 안내도, 우리가 있는 곳이 마봉리약수터 주차장
12:29 잡았다. 열심히 앞서 가고 있는 옆지기를 따라 잡았다. 꾸준한 오르막의 포장길이다. 소형차는 다닐 수 있지만 대형버스는 진입할 수 없다.
12:33 포장길 좌측으로 차단기가 설치된 갈림길이 나오는데
달마고도길이다. 이곳에서 진행을 선택할 수 있다. 좌측 달마고도길 따라서 도솔암으로 곧장 오를 수 있고, 계속 우측 포장길 따라 도솔봉주차장까지 이동 후 도솔암으로 갈 수 있다.
갈림길에 있는 다른 이정표
부부는 우측 포장길을 따라 계속 오른다. 왜냐면 도솔암주차장 옆에 도솔봉 정상석이 있기에 그것을 인증하기 위해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좌측 도솔암으로 곧바로 진행한다.
조금전 갈림길 이후 포장길의 경사도는 급하게 높아진다.
12:40 저 앞쪽에 이정표가 있는데???
바로, 땅끝기맥 마지막 지점인 땅끝마을로 연결되는 곳이다. 2014년 송촌리에서 달마산을 지나 이곳까지 와서 땅끝마을까지 진행한 적이 있다. 우리는 마봉리에서 오르고 있는 것이다. 도솔봉주차장까지 0.3Km
갈림길 전경
달마산 정상까지 5.2Km, 도솔암 1.3Km
이후에도 계속 포장 오름길 진행이다.
우측 아래로 동호저수지와 예전 우리가 한번 걸었던 땅끝마을로 이어지는 천년숲옛길 능선길이다. 땅끝기맥의 마지막 능선길인 것이다.
곳곳에 이정표와 이정목이 잘 만들어져 있다.
12:44  오름길 좌측으로 시그널이 보이는데, 도솔봉에서 곧바로 이쪽으로 내려 올 수도 있다. 그렇다면 반대로 오를 수 있지만 우리는 도로 따라 진행한다.
진행방향 좌측으로 정상석이 있는 도솔봉이 조망된다.
저 앞쪽에 차량들이 주차된 것을 보니 도솔봉주차장에 다 온듯 하다.
12:52  도솔봉주차장 도착, 정상석이 있는 도솔봉을 오르기 위해서는 전방 좌측 전봇대에서 7시 방향으로 급하게 꺽어 뒤로 올라야 한다.
전봇대에서 뒤 돌아 도솔봉을 바라보고 우측 샛길로 오른다. 분명히 이곳에서 옆지기를 보고 '이쪽으로 와'하고 앞서 올랐다.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도솔봉 정상석이지만, 그래도 알고 찾는 사람들이 있어 등로는 뚜렷하다.
이런 바위 사면을 돌아가면
12:55  탁트인 넓은 공터가 나면서 우측에 도솔봉 정상석이 보인다.
동호저수지와 땅끝마을로 가는 능선길이 안개속에 갇혀 희미하게 조망된다.
달마산 도솔봉(417M) 정상석, 문제는 이제부터다. 아무리 기다려도 옆지기가 오질 않는다. 목소리 높여 불러봐도 대답도 없다. 한참 후 전화기가 울린다. 분명히 뭔가 착오가 있는 것이다. '나에게 어디에 있느냐'고 묻는다. 헐~, 아무리 찾아도 없단다. 나는 분명히 주차장에서 좌틀하면서 옆지기에게 '이쪽으로 와'하고 갔는데, 자기는 나를 보지도, 듣지도 못했단다. 그러면서 도솔암 방향으로 곧장 가고 있단다. 할말 없음. 그냥 정상석 인증만 남기고 도솔봉주차장으로 내려간다.
도솔봉 정상석에서 직진 방향으로 시그널이 걸려 있는데, 사람들이 거의 다니지 않아서 수풀이 빽빽하다.
도솔봉을 내려서면서 전방에 원래 도솔봉 정상을 조망해 본다. 저곳에는 군사시설이 들어서서 갈 수 없다. 그래서 이곳에 도솔봉 정상석을 세워 둔 것이다.
좌측으로는 조금전 우리가 출발했던 마봉마을 방향이다.
다시 도솔봉주차장으로 내려온다. 전방의 시설물이 있는 곳이 원래 도솔봉정상이다.
주차장에 내려와 내가 올랐던 도솔봉 방향을 뒤돌아 본다.
13:02  도솔봉주차장에서 우측 도로는 군사실설지역 방향이고, 도솔암은 좌측 이정표 따라 가야 한다. 이곳에서 옆지기를 만나 다시 도솔암으로 향한다. 서로 어이가 없는 상황이다.
도솔봉주차장 이정표
주차장에서 도솔암 0.8Km, 달마산정상 4.3Km
도솔암을 향해 출발한다.
등로 좌측으로 멋진 조망처 바위가 있지만 안개와 구름에 가려 전혀 조망이 없다.
좌측 조망처 바위로 나가보니 우리가 출발했던 마봉리약수터 주차장이 조망된다.
다행히 가까운 곳은 조금씩 조망된다. 좌측 조망처 바위에 나와서 보는 도솔봉 정상 방향이다.
언덕에 올라선 후
13:09 도솔암 0.28Km, 떡봉 1.88Km
좌측으로 보이는 암릉 사이에 도솔암이 자리잡고 있다.
뚜렷한 등로를 따라 진행하면
우측으로 살짝이 떡봉 방향으로 진행할 능선이 조망된다. 아쉬움 아쉬움~
13:12  갈림길에서 좌측 도솔암 방향 진행이다.
바로 달마산정상으로 가면 도솔암을 둘러 볼 수 없게 된다.
곧바로 앞쪽에 이정표가 나오면서 도솔암 입구이다.
13:13  좌측 아래에 도솔암이 자리잡고 있다. 도솔암을 구경하고 다시 이곳으로 올라와서 우측 달마산정상 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
도솔암 소개
좌측 도솔암으로 내려간다.
천년의 기도도량 도솔암 전경
도솔암 앞 암릉전경
도솔암 앞 암릉전경이며, 좌측 아래 사람이 서 있는 곳이 삼성각이다. 마봉리에서 오르다가 갈림길에서 도솔암으로 곧장 오를 경우 저곳 삼성각으로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삼성각을 당겨 본다.
천년의 기도도량 도솔암, 의뢰로 조그만 전각 하나 밖에 없다.
도솔암 내부 모습이다.
13:18  이제 도솔암을 나선다.
삼성각 가는길 표지판
아쉬움에 다시 한번 도솔암을 올려다 본다.
13:19 본격적으로 달마산 정상을 향해 출발이다. 이제부터 산행이 시작된다 보면 된다. 
좌측에 화장실이 있고
도솔암 종무소 앞쪽을 지난다.
미황사등산로 표지판 따라
우측은 주차장에서 도솔암 오기 직전 갈림에서 진행되는 길이고
우리는 좌측 등로를 따라 진행한다.
진행길 조망처에 올라 뒤를 돌아보니, 도솔암 종무소와 도솔봉이 조망된다.
도솔봉 정상을 배경으로
구름과 안개가 오락가락 한다.
진행방향 우측 아래로는 해남군 북평면 평암리 방향이다.
13:24  국가지점번호가 있는 조망처에서
아!!!! 우리가 진행할 방향으로 조망이 너무나 아쉽기만 하다.
그러나 이런 그림마저 멋지다.
평암리 방향으로
13:39  숲속을 걷다 보면 자주 이런 조망이 나온다. 달마산의 숲은 원시림 비슷한 오래된 나무들이 많다.
멋진곳을 그냥 가면 서운~
달마산 등로의 특징은 조망처가 나온다 싶으면 다시 내려섰다가 올라서고를 반복하게 된다. 오르락 내리락의 연속이다.
사진도 찍어야겠고, 속도는 더디게 진행된다.
달마산의 또 다른 모습이다.
진행방향의 능선과 우측 북평면 평암리
조금전 우리가 밧줄을 잡고 내려왔던 곳이다.
이번에는 땅끝마을 방향으로 조망을 잡고
또 밧줄을 잡고 오르고
진행방향의 능선길
우리가 지나온 능선길도
지나온 도솔봉 방향이다.
이제 앞으로 가야할 능선길
좌측 마봉리 방향으로
전방으로 보이는 봉우리가 '떡봉'일 것이다.
14:11  떡봉 도착
달마산 정상 2.5Km, 거리상은 가까우나 시간적으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등로가 괜찮은 편이다.
누군가 바위면에 떡봉이라 펜으로 적어 두었다.
달마산 떡봉을 인증합니다.
조망처에서 보이는 저곳이 귀래봉이다. 또 한번 하숙골재까지 떨어졌다가 귀래봉으로 치고 올라야 하는 것이다.
우측 평암리 방향
내려서는 길에 뒤를 돌아보고, 저 뒤로 이동하라고 한다.
바위로 으른 옆지기를 당겨서 담는다.
14:23 하숙골재 통과
달마산정상 2.80Km
등산로는 나무가 크지는 않아도 사람을 온전하게 품어줄 수 있다. 남도의 독특한 나무들이 다른 산들의 숲과는 약간 다르다.
암릉을 오르내리면서 진행한다.
우측으로 평암리
14:42  멋진 암릉이 우리를 기다린다.
암릉을 배경으로 한컷
온몸은 높은 습도로 인해 흠뻑 젖었다.
밧줄도 있지만 그렇게 위험할 정도는 아니다. 아직까지는~
다시 암릉을 내려서면
14:52  이정표가 나오는데
하숙골재~대밭삼거리 이정표, 대밭삼거리 0.2Km, 달마산정상 1.6Km
밧줄을 잡고 오르면
14:54  철계단이 나오고
아마 저 봉우리가 귀래봉인듯 하다.
철계단에서 내려서기 전 좌측에 특이한 바위다.
계단을 내려서기 전
귀래봉을 배경으로
내려서기 전 전방에 강아지 비슷한 형상의 바위다.
계단위의 옆지기를 올려 찍고
물기를 머금은 너무나 싱그러운 풀이다.
우리가 내려온 바위를 뒤 돌아 본다.
14:59 귀래봉 정상의 표지판, 귀래봉은 별도의 정상표시가 없다.
조금전 우리가 지나 온 계단이 있는 봉우리 뒤로 도솔봉으로 이어진다.
좌측 아래로 미화사가 있는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방향이다. 평평하게 보이는 숲길이 천년숲옛길이 있는 달마고도길이다. 마치 제주도에 와 있는듯한 느낌이다.
드디어 진행방향으로 달마산 정상부가 조망된다.
저 멀리 달마봉 좌측 아래로 미황사까지 조망된다.
미황사를 당겨 본다.
저길 언제 가노~
이제부터 결코 만만치 않은 등로가 펼쳐진다.
갑자기 산죽길이 나오면서
달마고도길 표지목이 있는
15:12  대밭삼거리 통과한다.
달마산정상 1.2Km, 이제부터 달마산의 대단한 암릉길이 시작된다. 미끄럽고 힘들고 위험하기까지 하다.
대밭삼거리 바위
녹녹치 않은 암릉의 서막이 시작된다.
좌측으로 송지면 혜원리 방향, 우측 멀리 커다란 해원저수지
우리가 진행해 가야 할 달마봉 방향 능선길
미황사도 한번 담아보고
갈길이 아득하지만 한컷 남기고
즐길 수 있을 때 즐겨라~
그러나 저 암릉을 직접 타고 넘을 수 없다. 그래서 우측으로 우회를 하게 되는데, 뚝 떨어졌다가 다시 급된비알을 오르고의 반복이 된다.
평암리 방향
암릉 앞에서 우측으로 급격하게 내려선다.
좌측의 커다란 암릉을 직접 넘을 수 없어 우회를 한다.
15:35 작은금샘 통과, 달마산 정상 0.6Km, 결코 가까운 거리가 아니다. 이제부터 최고의 힘든 구간이다.
미끄러운 된비알 오름길
기암괴석이 멋지지만
젖먹던 힘까지 써가면서 암릉계곡길을 올라야 한다.
암릉길을 올라서고
15:38  작은금샘삼거리 통과
달마산 정상 0.6Km, 거리가 더 늘어났다. 이곳에서 곧바로 미황사로 갈 수 있지만 달마산 정상을 패스하게 된다.
지나온 아찔한 암릉 하부 구간이다.
잠시 후 진행방향 좌측의 조망처로 나가본다.
아이고~
멋지게 한장 남겨드리고
진행방향의 등로도 만만치 않고
우측 아래로 평암리 방향
15:43  한사람 겨우 빠져 나갈 수 있는 바위통로, 배낭이 끼어서 힘들다.
바위를 힘들게 통과해 나오니 이런 멋진 조망이 기다리고 있다.
도솔봉에서 달마봉으로 이어져 오는 멋진 기암괴석이다.
짧지만 결코 만만하게 봐서는 안되는 산이다.
헐~ 다시 급내리막길이다.
밧줄을 잡고 내리막길을 조심조심
15:48  문바위재~작은금샘삼거리 이정표, 아직도 달마산정상 0.5Km
또 다시 더 내려가라고 한다.
아찔한 계단을 내려서고
힘들 암릉을 오른다.
15:55  문바위를 통과해야 하는데
겨우 한사람 지날 수 있다.

 

15:56  문바위를 통과하면 문바위재, 달마산정상 0.30Km
'문바위'라 적어 놨다.
문바위재 바로 아래 이정표, 불썬봉 방향 진행, 예전에 달마봉을 불썬봉이라 불렀다.
급된비알 오름이다.
까마득한 계단오름, 계단 높이도 비정상적이다.
뒤로 지나온 암릉
아이고 힘들어~
급된비알계단을 올라선 후 조망
여기서 한번 더 오른다.
물기에 젖어 미끄러운 바위를 오르고
진행방향 우측 멀리로 완도대교 넘어서 완도가 조망된다.
완도대교를 당겨 본다.
16:06 표지판 지나
또 한번 올라선다.
드디어 저 앞쪽으로 달마봉 정상이 조망된다.
16:12  달마산 달마봉(489M) 도착
달마봉 정상에서 미황사 1.4Km 진행이다.
달마봉 인증, 바람이 세게 불어 모자를 잡아야 한다.
소심하게 브이
정상석 위쪽 돌탑으로 올라가 본다.
바람이 세차게 불어 댄다.
돌탑에서 관음봉, 송촌1제 방향 능선이다. 예전에 저 능선을 타고 올랐었다. 저 멀리로 두륜산이 조망되어야 하는데, 날씨가 좋지 않다. 관음봉 뒤로 내려서면 땅끝기맥 닭골재이다.
우리가 지나온 도솔봉까지 이어지는 암릉구간
돌탑 바로 아래에 달마봉 정상석이 있다.
완도대교 방향을 다시 한번 담고, 이제 미황사로 내려선다.
16:16 달마봉에서 미황사로 내려서는 길도 미끄럽고 거칠기는 마찬가지다.
미황사 내리막길 조망처에서
미황사를 당겨 담아 본다.
16:26 거친 등로가 이제는 완만해 진다.
16:28 넓은 공터를 지나고
16:29  문바위재갈림터 통과
이곳에서 곧바로 문바위재로 갈 수 있다. 우리는 미황사로 내려간다.
길은 걷고 싶은 맘이 절로 나게 한다. 이정목이 있는데~
달마고도길 이정목이다.
16:35  달마고도삼거리
시티투어버스 트래킹 코스인듯 하다.
미황사 200M
드디어
16:39 미황사 천왕문에 도착한다. 오늘 산행종료
들머리 안내도
달마봉이 조망된다.
천왕문을 통해 경내로 들어선다.
항상 그렇다. 산행이 끝나고 나면 날씨가 쨍해진다. 오늘도 그렇다. 다시 올라갈 수도 없고,
수국이 한창 예쁘다.
'자하루'로 올라선 후
달마산 미황사 대웅보전 앞에 선다. 대웅보전은 단청채색을 하지 않는다.
정말 멋진 곳에 터를 잡았다.
달마산미황사 일주문을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