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1년도

용화산 & 오봉산 연계산행

용화산 & 오봉산 연계산행

산행 일자 : 2021년 4월 20일(화)

산행 구간 : 큰고개(화천군)-만장봉-용화산정상(춘천시)-안부-고탄령-서여령-쇠슬봉-배후령-오봉산(1,2,3,4,5, 춘천시)정상-홈통바위-소요대-천단(촛대바위)-거북바위-청평사-주차장(약14.1Km)

함께한 이 : 왼발,오른발 부부

 

용화산과 오봉산은 별개로 진행한 적이 있는 곳이다.

이번에 용화산,오봉산 연계산행 기회가 있어 하루 휴가를 내고 산행에 나선다.

2018년 8월 용화산만 따로 진행한 적이 있었고, 오봉산은 마적산,끝봉,경운산을 거쳐 오봉산을 진행해 본 적이 있었다.

이번에는 용화산을 지나 배후령에서 오봉산으로 올라 청평사로 진행하는 코스이다.

한 여름에 이 코스를 진행하면 굉장히 힘이 드는 곳인데, 4월에 진행한 연계산행은 걷기에 딱 좋은 날씨였다.

그러나 배후령 이후 급격하게 기온이 오르면서 후반부 체력에 부담이 되었으나, 한 여름 산행으로는 꽤나 힘들듯 하다.

 

전체적으로 용화산은 큰고개에서 만장봉을 올라서 볼것이 있고, 용화산 정상 이후부터 배후령까지는 그닥 볼거리 없는 지루한 코스이다.

오봉산은 제1봉에서 제4봉까지는 봉우리인 듯 아닌 듯 지나는 다소 밋밋한 능선이다.

그 이후 청솔바위를 지나고 오봉산 5봉 정상 이후 홈통바위를 지나고, 급경사와 완경사 갈림길에서 급경사로 진행된 코스가 제대로 된 오봉산을 만끽할 수 있는 멋진 곳이었다.

완경사 코스로 내려갈 경우 사람들은 오봉산이 볼 것 없는 재미 없는 산이라고 생각하게 할 수도 있겠다.

급경사 코스 소요대 이후 천단부터 펼쳐지는 멋진뷰가 이날의 하이라이트였다.

4월 하순으로 가는 시기에 이곳이 강원도임을 알려주는 듯 이제서야 진달래가 만개하고 있었고, 산속 곳곳에 벚꽃이 피어나고 있었다.

 

주말이 아닌 주중에 진행되다보니 한적하고 사람들이 없어 호젓한 산행을 할 수 있었다.

 

 

용화산 만장봉 명품송
오봉산 천단 촛대바위
오봉산 거북바위
용화산-오봉산(20210420).gpx
1.51MB
09:23 용화산 들머리 큰고개(화천군 하남면 삼화리 102-7번지)인증
이곳이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이다.
큰고개 들머리 용화산 등산로 안내도
09:24 큰고개를 옆지기께서 출발하신다.
큰고개에서 용화산7지점 능선까지 처음부터 오르막이다.
숨을 돌릴만하면 다시 급경사 오르막
급된비알 계단을 오른다.
로프구간도 나오고
어느 정도 안전장치는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전방으로 만장봉이 조망되고, 이곳은 강원도라서 그런지 이제서야 진달래가 만개해 있다.
지금도 오르고 있다.
09:31 용화산제7지점 능선 도착
이곳이 용화산7지점, 이곳부터 볼거리가 많다.
포토존인 명품송
인증샷부터 남기고
나도 한컷
멋진 바위에 올라 우측 아래 영통마을 방향을 조망한다. 용화산만 진행할 경우 저곳에서 폭발물처리장으로 올라오게 된다.
만장봉을 배경으로, 우측의 뾰족한 바위가 용화산 새남바위다.
멋진 소나무들이 즐비하다.
전방의 만장봉을 향해 잠시 내리막길 진행
09:35 폭발물처리장 갈림길 통과, 보통 용화산 단일산행의 경우 이곳으로 오르게 된다. 큰고개에서 0.3Km 지점
폭발물처리장갈림길에서 다시 한번 된비알 오름길 진행
옆지기도 열심히 오르고 있다.
또 한번 능선에 오르니 우측에 멋진 바위가 있다.
능선에서 좌측 만장봉 방향으로 진행한다.
곳곳에 안전장치가 되어 있다.
빗길 또는 눈길에서는 굉장히 위험하겠다.
강한 생명력으로 버티고 있는 나무들이 존경스럽다.
오르고 또 오른다. 힘들기보다는 재밌는 코스이다.
이러한 흙길도 있고
진달래가 응원을 하는듯 하다.
09:44  만장봉 상단부에 올라선다.
큰고개를 뒤돌아 본다.
만장봉에서 새남바위
이곳에서도 인증샷을 남기고
명품송과 새남바위
만장 낭떠러지라서 만장봉인가??? 아무튼 멋진 곳임에는 틀림 없다. 이후 멋진 조망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다시 한번 뒤돌아 보고
새남바위
인증샷 후 용화산 정상부로 향한다.
정상 오름길에 누군가 바위를 떠 받치라고 나무가지를 세워뒀다.
약간의 오름이 있고
09:55 트랭글이 이곳에서 울린다. 
정상 바로 밑 삼거리, 양통계곡(1)에서 올라오는 지점이다. 진행하면서 우측으로 양통계곡이 4번 나오게 된다. 이 지점이 양통계곡1지점이다. 정상으로 오른다.
이정표 앞 넓은 공터에 있는 삼각점, 이곳이 용화산 정상이라고 하는 듯 하다. 정상석은 좀 더 위쪽에 있다. 그 이유는???
위쪽으로 좀 더 오른다. 우측에 이정표 하나가 더 있다.
09:56  이정표는 이곳에서 우측으로 바로 아들바위로 가는 곳이고, 정상은 0.1Km 직진이다. 왜 이런 이정표를 세웠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처음 오는 사람에게는 헤깔리기 딱이다. 정상을 지나서 아들바위로 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09:56  조금 이동하면 나오는 또 다른 이정표, 이곳 이정표도 좀 이상하다. 잠시 몇 발자국 이동하면 또 다른 이정표가 나오는데, 우리가 진행해야 하는 곳은 안부가 맞기는 맞다.
몇 계단 더 올라서면
09:56  또 이런 이정표가 하나 더 있다. 이곳에서 용화산 정상 인증 후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와 배후령 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 
09:57  용화산 정상 도착, 춘천시 사북면에 위치해 있다.
정상인증 후 큰고개/안부 방향으로 되돌아 가야 한다. 직진하면 안된다.
용화산(878.4M)
우선 인증샷부터 남긴다. 약 3년전 여름에 이곳을 왔었다.
10:01 이곳으로 되돌아와 이제부터 배후령을 향해 진행한다.
내림길에 진행방향의 능선들이 조망된다.
10:04  갈림길이 나오는데
양통계곡2지점 갈림길, 배후령 7.3Km 방향 직진이다.
앞쪽 바위로 나가보니
좌측으로 화천군 간동면 소재지가 조망된다. 호수처럼 보이는 곳이 간척천이다.
진행할 방향이 조망되고, 뾰족한 봉우리를 넘어야 한다. 우측으로 우리가 진행해야 할 능선이다.
용화산 방향을 뒤돌아본다.
바위를 더 당겨본다.
진행방향
10:17  인증샷 한장 남기고 출발
내려온 후 올려다 본다.
다시 한번 뒤돌아 보고
곳곳에 진달래가 만발이다.
오름길은 이렇게 조성되어 있고
방향표시는 잘 되어 있다. 휴양림 방향이다.
진행방향의 능선
이런식으로 오르내림이 계속된다.
이곳에 올라서서
다시 좌측의 화천군 간동면을 조망한다.
바위에 손잡이가 있는듯 하다.
진행방향 우측으로 내려서는 능선이다.
바위를 더 당겨본다. 저 뒤로 춘천시 사북면 용화산휴양림 초입이기도 하다.
다시 지나온 용화산 정상부를 뒤 돌아 본다.
약간의 미세먼지인듯 아니면 박무인듯? 깨끗하지만은 않다.
멋진 포토존
역시나 한컷 남기고
멋진 소나무가 있어
여기서도 한컷, 옆지기는 고사목을 참 좋아한다.
10:24 정상에서 0.9Km 진행, 배후령까지 6.6Km
이렇게 좋은길도 있고
10:24  아들바위갈림길, 길주의 지점, 몇몇 사람들이 배후령 이정표가 사라지자 헤깔려 아들바위까지 내려갔다 왔다는 사람도 있다.
이곳 이정표에서는 우측으로 꺽어 수풀(?)무산 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 아들바위를 갔을 경우 되돌아 올라와야 한다. 실제로는 수풀무산이 아니고 수불무산이다. 이정표 설치가 잘못되어 있다. 거리표시도 그렇다.
등로는 거칠어지기도 하고
나무에 가려 조망이 썩 좋지는 않다.
내리막길에는 밧줄까지
급내리막을 내려서고
10:34  넓은 안부에 도찫한다.
이곳이 '안부'이다.
안부에서는 이제 고탄령 1.5Km 방향 진행이다. 양통계곡3지점이기도 하다.
안부에서 다시 한번 오른다.
중간중간 쉼터도 있고,
무슨 표지석 같은데?
길이 좋아졌다가
10:41  밧줄타고 오른다.
올라서 보니
우리가 가야할 능선이 우측으로 꺽여 펼쳐진다. 전방 좌측 봉우리에서 좌측은 수불무산으로 가고, 우리가 가야할 배후령은 우측으로 꺽여진다. 저 멀리 희미하게 춘천 오봉산과 부용산이 조망된다.
파노라마로 담아 본다.
밧줄을 내려서고
내려서기 전 뒤돌아 마지막으로 용화산을 담아 본다.
우측으로 춘천시 사북면
어여 앞서가소~
이제부터 길이 암릉을 벗어나 룰루랄라길이다.
아직이 새싹이 어리다. 우측의 봉우리로 올라야 한다.
10:59  한번 안부로 내려서는데
양통계곡갈림길 4지점이다. 3년전 우리는 이곳에서 우측 양통계곡 2.6Km로 하산했었다. 오늘은 배후령, 사여령 1.0Km 방향 직진 오름으로 진행해야 한다.
이곳이 용화산10지점, 이곳 위쪽의 밴치에 앉아 과일을 먹으면 잠깐 쉬어간다.
11:13  수불무산갈림길 통과하는데
좌측은 수불무산, 사여령은 우측으로 급하게 꺽여진행된다. 사여령 0.6Km 지점이다.
우측으로 꺽인 등로는
이내 거친 내리막으로 진행된다.
능선을 만나 전방의 봉우리를 올라야겠다 생각에
내려서는 길이 바로 사여령이다.
11:23 사여령, 이곳에서 배후령 4.0Km 된비알 오름길 진행이다. 휴양림은 용화산휴양림을 일컫는다.
사여령에서 된비알 오름을 진행한다.
11:28 능선에 올라선 이후 우측으로 꺽어 내리막 진행 후 능선길 진행된다.
완만한 능선길을 만났다 싶었는데
11:34  넓은 안부를 통과한다.
11:42  전방에 이정표 하나가 나오는데
휴양림갈림길이다. 배후령은 봉우리 직전 좌측으로 꺽여 진행된다. 힘들때는 작은 봉우리 하나 오르는것도 버거운데, 감사할 따름이다. 이제 배후령까지 3.0Km
잠시 후 또 이정표 하나를 만나는데, 방향은 우측으로 꺽어 진행한다.
이정표가 훼손되어 있다.
11:58  멋진 소나무와 조망터가 있는 곳이다.
우리가 지나온 능선길을 뒤돌아 보고
12:13   이곳에서 간단히 점심을 마치고, 출발에 앞서 인증샷 한컷 남긴다.
12:14  산림청이 세워둔 이정표, 배후령 1.08Km
급내리막길로 우리를 안내한다.
진행방향의 능선들
거친 내리막길이 이어진다.
거친 내리마길을 내려선 후 다시 완만한 능선길 진행
12:29 잣나무 군락지도 지나고
우측의 봉우리로 이어진다.
저 앞쪽에 무슨 봉우리 같은게?
12:38  바닥에 뭐가 있는가? 확인중인데
우측 나무가지에 '소슬봉(688M)'라고 걸려 있다.
소슬봉은 옛 헬기장 자리였던듯? 밴치가 있으나 햇빛이 강해 쉴 수가 없다.
살짝 우측에 바위가 있고, 나뭇가지에 코팅지로 소슬봉이라고 걸려 있기도 하다.
소슬봉에서 이제 길은 참호를 따라 내리막길 진행이다.
등로 중간에 있는 삼각점
12:45  임도를 만나 좌측으로 꺽인다.
임도길 따라
배후령 도로에 합류된다. 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진행된다.
배후령에서 용화산 등산로 안내도
배후령도 38선에 걸려 있는 곳이다. 화천 석룡산도 38선을 지난다.
배후령에서 마땅히 인증할게 없어서 한컷 남긴다.
자동차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살짝 올라간다.
여기는 배후령(600M) 정상입니다. 춘천시와 화천군의 경계지점이기도 하다. 오봉산을 가장 짧게 오르려면 이곳에서 주차 후 원점회귀하면 된다.
12:50  배후령에서 오봉산 등산로입구
본격 오름점에 인증샷, 이곳은 아직까지도 개나리가 피어 있다.
곧바로 된비알 오름 시작이다. 용화산에서 배후령까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라 오름이 쉽지만은 않다.
꾸준하게 오름이 이어진다.
13:00  이정표 통과, 배후령에서 10분 소요
이제부터 오봉산까지 1.73Km
이정표 이후 갑자기 등로가 완만해 진다.
13:03  두번째 이정표 통과
이곳이 경운산갈림길이다. 수년전 마적산,끝봉,경운산을 지나 이곳으로 진행한 적이 있었다. 이제는 오봉산 1.67Km 방향 진행이다.
오봉산 1지점 통과
13:05  등로 중간인줄 알았는데, 오봉산 제1봉이다.
13:15 오봉산 제2봉
전방으로 꽤나 된비알 오름이 기다리고 있다.
한번 내려섰다가
13:20 고사목 쉼터를 지나
된비알을 오른다.
좌측으로 배후령길
꽤 경사가 있다. 갑자기 기온이 확 오른 느낌인지 몰라도 여름 날씨 분위기가 난다.
어여 올라오소~
13:27  오봉산 제3봉
13:30 오봉산 2지점 통과
오름길에
좌측으로 배후령과 저 멀리 용화산 조망
저 멀리 가운데 우뚝 솟은 용화산, 참 멀리를 걸어왔다.
용화산을 더 당겨본다.
대단한 생명력의 소나무와 그 옆에 고사목이 서고 대조적이다.
유난히 고사목을 좋아하는 옆지기도 한컷 남기고
좌측 암봉이 청솔바위봉이고, 그 뒤가 오봉산 제5봉 정상이다.
멋진 포토존에서 소양호를 배경으로 한컷 남긴다. 이 멋진곳에 누군가 용변을 봐두고 그냥 가 버렸다. 매너가 정말 꽝인 사람이다.
청솔암봉과 오봉산 정상, 우측으로 이어진는 오봉산 능선들
더 당겨본다.
옆지기는 오늘도 열심히 앞서 걷고 있다.
13:36  제4봉갈림길 주의구간, 보통 이 다리를 건너 우측의 넓고 좋은길을 따라 가게 되는데, 그럴 경우 제4봉은 놓치게 된다. 제4봉은 좌측 오름길로 올라서야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제4봉을 놓치는 이유이이다. 옆지기도 이곳에 서서 어디로 가야 할지 고민중에 있다.
제4봉 오름길에 우측으로 소양호
13:38 오봉산 제4봉
이제 전방의 청솔암봉으로 오른다.
청솔암봉 뒷부분을 당겨본다.
로프구간을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13:44  청솔바위 도착, 사람이 올라가 인증하기에는 위험하다.
앞쪽에 '청솔바위'라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청솔암봉을 지나
오봉산 정상을 향해 간다.
우측으로 소양호와 끝봉에서 경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암릉 밧줄구간을 이어간다.
13:47  잠시 후 갈림길을 통과하는데, 약간의 된비알 오름을 이어가야 한다.
이정표도 산림청에서 세워둔 것인데, 거리표시가 많은 차이가 있다. 일단은 청평사 방향으로 가야 한다. 오봉산 정상에서 청평사까지는 2.2Km 정도 거리로 알고 있다.
마지막으로 힘을 내서 올라본다.
오름길 중간에 있는 고사목
역시나 한컷 남기고 오른다.
좌측으로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부근이다.
마지막으로 힘을 내서
좌측방 뒤로 용화산도 한번 담아본다.
길이 갑자기 유순해졌다 싶은데
작은 오름도 후반에는 힘이 든다. 진짜 마지막 오름이다.
13:56  오봉산(779M) 정상 도착
오늘도 고생 많았습니다.
핸드폰으로도 남긴다.
14:04  오봉산 정상에서 시원한 커피를 마신 후 이제 하산을 시작한다.
잠시 내리막길 진행
14:06  이내 이정표 갈림길이 나오는데
부용산갈림길이다. 청평사까지 2.20Km
길이 좋다 싶었는데,
이제부터 급내리막길이다.
급내리막길에 명품송
그냥 지나칠 수 없기에
옆지기는 뚜벅뚜벅 앞서 내리 걷는다.
밑에서 사람들 소리가 웅성거린다. 바로 홈통바위가 있는 곳이다.
홈통바위 상단에서 전방의 소요대를 조망해 본다.
소요대와 소양호
14:19  홈통바위
한 사람 간신히 빠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이다.
홈통바위 통과전
어렵사리 빠져 나간다.
그래도 인증은 하고 가셔야죠
빠져 나가기 애매하지만, 모두 빠져 나갈 수 있다.
옆지기가 카메라를 달라고 하여 나도 한컷 남긴다.
전방에 떡허지 버티고 서 있는 소요대
14:29  청평사 급경사,완경사 갈림길
이곳 갈림길에서 직진 청평사(급경사)와 우측 청평사(완경사)를 선택해서 진행해야 한다. 우리는 직진 급경사 진행을 선택한다.
계단길 우측으로 내려가면 적멸보궁을 지나 완경사로 청평사로 갈 수 있다.
우리는 직진 천단 방향 직진 오르막길로 진행한다.
좌측은 오봉산 정상 바로 밑에서 좌측으로 빠져 배치령을 지나 진행할 수 있는 부용산이다.
우측 전방으로는 끝봉과 경운산 능선길
잠깐의 오름이 이어진다.
지나온 오봉산 정상부를 뒤 돌아 본다.
14:35  오봉산 소요대 도착, 천단 방향 진행이다.
소요대 안내판
소요대에 '배꼽봉'이라는 표지판이 붙어 있다.
배꼽봉(688.4M)
배꼽 사이로 조망되는 소양호
청평사를 당겨본다.
등로가 갑자기 유순해지는가 싶은데
14:41  오봉산 5지점
5지점에 이정표, 주차장 뱃터가는길로는 청평사를 갈 수 없다. 
우측의 노란색 경고판 뒤로 가야 급경사를 통과하여 청평사 천단으로 갈 수 있다.
급경사지 위험 안내판 뒤로 갈 경우 급경사구간 진행이다. 이곳까지 왔다면 이 길로 갈 수 밖에 없다.
별로 위험하지 않은듯 한데??
14:45  이내 오봉산 천단에 도착한다.
제석단과 천단 설명
천단의 촛대바위
천단에서 조망되는 소양호
천단 밑 명품송
촛대바위에서 오봉산을 올려다 보고
명품송에 내려와 천단 촛대바위를 올려다 본다.
가장 멋진 곳이어다. 바로 거북바위, 핸드폰 촬영
옆지기는 무서워 거북목에 올라가지 못한다.
카메라 촬영
아찔한 절벽길을 진행한다.
그러나 잡고 오르내릴 수 있는 안전장치가 다 되어 있다. 즐기면서 가면 된다.
청평사가 가장 멋지게 조망되는 곳이다.
옆지기가 또 카메라를 받아서 한장 남겨준다. 중앙에 달까지 함께 담았다고 자랑이다.
기를 듬뿍 받아 봅니다.
또 다시 급 내리막길
이런 길을 만났다가
다시 내리막길
청평사가 점점 가까이 다가 온다.
이제 청평사에 다 왔다.
15:25 청평사 도착
이곳에도 급경사지 위험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청평사 경내로 들어선다.
청평사 극락보전
청평사 대웅전
마스크 벗고 한장 더
이제 상가지구로 하산을 시작한다.
오봉산 청평사 구송폭포
주차장에서 청평사까지 1.4Km
청평사 매표소
입장료 2,000원을 절약했다.
15:48 상가지구 도착, 산행종료
이 다리를 건너 주차장까지 걸어가야 한다.
이곳에서 도토리묵에 시원한 맥주 한잔으로 산행을 종료한다.
다리 건너 주차장 인근 상가지구
청평사관광지 주차장으로 들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