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걷는길/국립공원(山高水淸)

국립공원 스탬프 투어 - 변산반도 관음봉(7)

변산반도국립공원-내소사 관음봉

산행일자 : 2020년 9월 24일(목)

산행구간 : 내소자주차장-내소사-벌통봉-관음봉삼거리-관음봉-관음봉삼거리-내소사-내소사주차장(약 5.2Km)

함께한 이 : 왼발,오른발 부부, 둘째딸

 

변산,내소사-관음봉-내소사.gpx
0.10MB

 

내소사주차장에서 바라본 관음봉
맨 좌측의 관음봉삼거리 봉우리로 올라 중앙의 관음봉을 찍고, 다시 원점회귀를 할 것이다.
일주문 앞에는 벌써 꽃무릇이 활짝 만개했다.
능가산내소사 일주문
내소사 전나무숲길
관음봉 갈림길, 좌측으로 관음봉을 오른다.
관음봉삼거리까지 1.3Km
우선 내소사 경내로 들어가 본다.
중앙에 우뚝솟은 관음봉
내소사 천왕문
오늘은 셋이 모두 함께 왔다. 둘째만 우리와 함께 산행을 할 것이다. 나머지 둘은 주변을 돌아보겠단다.
내소사와 관음봉 전경
둘째는 언니와 동생이 따로 돌아 다닌다고 하니, 거기에 묻혀가고 싶은가 보다. 100명산이 뭐길래, 관음봉올 올라야 한다.
내소사 재백이고개 탐방로 입구
인증샷 후 나무다리를 건넌다. 이내 오름이 시작된다.
국립공원이기에 이정표는 정확하게 되어 있다.
내소쉼터 통과, 오름이 계속 이어진다.
이곳 능선에서 잠시 우측으로 꺽인다. 이곳 좌측이 벌통봉이다.
능선 건너편 저 뒤로 월망암 뒤 낙조대가 조망된다. 그 뒤 남여치에서 대부분 산행이 시작된다.
재백이재 방향을 당겨 본다. 중앙 하단 능선이 재백이재에서 관음봉으로 오르는 능선이다.
우측으로 내소사가 조망된다.
내소사를 당겨 본다. 이곳에서 가장 정확하게 조망된다.
중앙 우측으로 살짝이 곰소염전 방향이 조망되고
더 당겨 본다.
잠시 오름이 이어진 후
좌측 뒤로 석포마을, 내소사로 들어오는 관문이다.
가운데 섬은 죽도이다. 주민이 거주하는 마을이다.
오름길에 넓은 바위 지대가 나오면서 따가운 햇살에 그대로 노출된다. 저 뒤가 관음봉이다.
관음봉을 당겨 본다.
산은 짧고 길고를 떠나 언제나 힘들다는 옆지기님
탁트인 조망이 시원스럽다.
오늘은 힘들어 한다. 아마도 언니,동생은 놀러 가 버렸기 때문에 그런가 보다. 혼자 낑낑대며 사족보행으로 오른다.
아빠가 분명히 시원하거라고 했는데~ 날씨는 왜 이리 덥고 땀이 많이 나는거야???
분위기는 있는대로 잡고 있다.
벌써 올라가 대기하고 서 있는 옆지기
같이 찍어 줄테니 빨리 올라가라고 한다.
바위를 특히 무서워 한다.
그 자리에 세운다.
달개비꽃과 함께
올라서다가 주저 앉아 또 자신의 신발을 찍고 있다.
잠깐 그늘이 제공되고
옆지기가 뭔가를 보고 있다. 조용히 오라고 해서 가 보니, 딱다구리가 나무를 쪼으고 있다.
생각보다 작다. 참새 크기 정도 밖에 안된다.
관음봉삼거리 도착
관음봉까지 0.6Km
오늘따라 힘들어 한다.
관음봉이 높아만 보인다.
직소천과 저 뒤 봉우리가 내변산
직소천 분옥담
낙석방지용 철망을 지나고
까탈스런 비탈길 오르고
무슨 길이 이러냐고 한다.
조금전 지나온 관음봉삼거리 방향과 우측 저 뒤로 재백이고개
아 힘들어~
저 멀리 당겨 보니 새만금방조재와 좌측으로 선유도, 우측으로 아미도가 조망된다.
관음봉 0.2Km, 꾸준한 오름이 계속된다.
이정표 옆 헬리포트, 지금은 폐쇄되었다.
변산 관음봉(424M) 도착
변산반도 관음봉 정상석, 이렇게 사람이 없는 것이 처음이다.
정상부 전망데크
먼저 인증부터 하고
전망데크에서 바라본 곰소염전, 지난 6월 지인들과 여행 때 저곳에 들렀다.
전체적인 조망
곰소염전
덕포마을과 죽도
내변산 방향
군산 선유도 방향
이제 다시 내소사 방향으로 원점회귀한다.
관음봉삼거리 통과
재백이고개 탐방로 입구로 되돌아 온다.
공중화장실 앞에서 관음봉을 올려다 본다.
일주문 앞의 꽃무릇
언제 또 냥이를 만났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