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걷는길/수도권 55산

수도권 55산 제13구간 & 천마지맥 (갑산-적갑산-철문봉-예봉산-예빈산)

수도권 55산 이어가기

제13구간 & 천마지맥

산행 일자 : 2022년 3월 12일(토)

산행 구간 : 머치고개-갑산-새재-적갑산-철문봉-예봉산-율리봉-율리고개-예빈산(직녀봉)-견우봉-승원봉-팔당댐(약 12.15Km)

함께한 이 : 왼발,오른발 부부

 

3월 9일(수) 수도권 55산 이어가기 종점이었던 머치고개에서 오늘 산행을 이어간다.

 

06:17 용산역에서 덕소행 전철 탑승

07:13 덕소역 하차 후 산행준비

07:30 시우리행 마을버스 88-3번 탑승

07:56 머치고개 정류장 하차

 

잣나무집 정류장에서 시작하는 큰명산, 제공안산 코스를 이용할 것인지?

천마지맥길에 충실한 머치고개를 이어갈 것인지 고민하다가 결국 천마지맥길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잣나무집 정류장은 머치고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이번 구간은 지난번 구간보다는 난이도에 있어 훨씬 수월하다.

그렇다고 그냥 쉽지만은 않다.

 

머치고개를 출발 후 마을길 100M 지점에서 우측 밭 가장자리 따라 임도길 진행된다.

이후 천마지맥 누리길 안내판에서부터 본격적인 오늘 산행이 시작된다.

초반 벌목지 상단까지는 워밍업 수준이며, 벌목지 상단에서 한번의 된비알길을 올라서 월문리(내촌마을)갈림길 능선에 합류 후 계속하여 능선길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진 능선길은 오름길을 지속한 후 큰명산갈림길에 합류되고 갑산을 통과하게 된다.

갑산에서 새재까지 고도를 뚝 떨어뜨리게 되고, 다시 적갑산, 철문봉, 예봉산까지 된비알길 오름이다.

예봉산까지 뚜렷한 전망 포인트는 없다.

또한, 오늘 날씨가 미세먼지와 박무까지 끼어 있어 지난 구간에 이어 이번에도 조망이 많이 아쉽니다.

예봉산 정상부 매점에서 간단히 요기를 하고 율리봉과 예빈산(직녀봉), 견우봉, 승원봉을 지나 팔당댐으로 하산을 함으로써 수도권 55산 이어가기 한강이북 지역을 마무리하게 된다.

 

예빈산(직녀봉)에서 예봉산 조망
견우봉 직전 암릉에서 예빈산 뒤로 예봉산과 철문봉까지 조망된다.
수도권55산_갑산-적갑산-철문봉-예봉산-예빈산2022-03-12_0757.gpx
0.11MB
07:23 덕소역 버스정류장
88-3 마을버스를 타고 머치고개까지 이동한다.
07:56 머치고개
머치고개에서 곧바로 수경고려인삼 마당 가운데를 가로질러 진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유지인 관계로 마을길 따라 진행한다.
07:57 우리는 머치고개를 출발하여 마을길 따라 잠시 진행한다.
머치고래를 출발 후 잠시 뒤 우측의 밭 끝자락에서 우틀하여 진행하게 된다.
07:58 진행 마을길 밭 가장자리 끝 지점에서 우틀하여 진행한다.
위 지점 좌측에 창고 3개동이 있다.
전방의 묘지 가장자리를 따라 오른다. 묘지 상단부 우측길은 머치고개에서 수경고려인삼 마당을 가로질러 올라오는 길이다.
등로는 분명하게 잘 되어 있다.
08:00 머치고개에서 수경고려인삼 마당을 가로질러 올라오는 갈림길과 합류되어 좌측으로 진행된다.
등로는 동네 산책길로 아주 잘 되어 있다.
한동안 이런 길을 따라 걷는다. 상쾌한 아침이다. 지난번 구간보다 날씨도 양호하다.
08:04 농장 앞 통과, 이곳에서 좌측 전봇대 옆 숲길로 이어진다.
갑산 안내도가 있고
머치고개에서 0.9, 갑산까지 1.66Km로 되어 있다.
오늘 공식 인증샷 후 출발이다.
우리는 잣나무집 정류장에서 출발하게 되는 큰명산-제공안산 능선길이 아닌 천마지맥 능선을 타는 것이다.
초반 등로는 워밍업 하기에 딱 좋다.
진행길 좌측 건너로 큰명산-제공안산 능선길이다.
은근한 오름길이 이어지고, 이곳 역시 두터운 낙엽으로 덮여 있다.
오름인듯 아닌듯 은근한 오름길이다.
오름길 뒤로 지난번 올랐던 고래산이 실루엣으로 비춰진다.
전방으로 우리가 올라야 하는 능선길이 조망된다. 우측으로 올라서 좌측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벌목지 상단부 지대로 올라서다 좌측 제공안산 뒤로 운길산이 조망된다.
조금 더 당겨 본다.
벌목지를 지나면서 능선까지 급된비알길로 바뀐다.
벌목지 상단부에서 머치고개와 고래산을 내려다 본다.
이곳에서 인증샷도 남기고, 다시 고고~
다시 힘든 된비알길을 오른다.
08:23 월문리(내치골)갈림길 능선에 합류된다.
머치고개에서 1.7Km 진행, 갑산까지 0.86Km 남았다. 월문리(내치골)에서 곧바로 올라 올 수 있으며, 한반도 종주길 방향이라고 표시해 두었다.
이제부터 능선길 따라 진행한다. 적당하게 불어주는 바람이 오히려 시원해서 좋다. 벌써???
봉우리를 오르면 잠시 내려 섰다가 다시 봉우리를 오르는 능선길이다. 크게 부담으로 다가오지는 않는다.
한 봉우리 올랐으니, 다시 내려선 후 오름길로, 앞 봉우리는 조금 고도가 있어 보인다.
잠시 오름 후 능선길에서 좌측으로 꺽여 계속 오른다.
08:28 능선길에 올라선 후
좌측 갑산 0.65Km 방향 진행이다.
옆지기도 열심히 오르고 있다.
위 지점에서 다시 한번 더 오르면
08:30 밴치 2개가 있는 쉼터봉을 지나고
위 지점에 서어나무 안내판이 붙어 있다.
위 지점을 지나 더 진행하게 되면
또 다시 밴치 2개 쉼터를 지난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관계로 쉼터가 잘 되어 있는 듯 하다.
살짝 내려선 후 다시 전방으로 오르게 된다.
좋은 등로 따라 조금 더 오르면
08:38 큰명산갈림길을 지나게 된다. 좌측이 큰명산-제공안산에서 올라오는 길이다.
갑산 0.28Km, 머치고개 2.28Km, 좌측은 큰명산이라고 표기해 두었다. 우리는 갑산, 새재고개 방향 직진이다.
다시 두터운 낙엽길 능선을 걷는다.
08:42 이곳을 지나는데 갑자기 트랭글이 울린다. 갑산은 조금 더 가야 하는데, GPS상 갑산은 이곳인가 보다.
위 지점에서 갑산은 더 올라가야 한다.
바위지대를 올라서면
08:44  갑산(549.3M)에 도착한다.
갑산 정상석
부부에게 갑산은 2012년 7월 수도권 55산 산행 당시 이후 두 번째이다.
갑산을 '갑봉'이라고 부르기도 했던가 보다.
갑산에서 멋진 소나무를 조망해 본다.
갑산에서 소나무 건너편 우측 능선으로 두봉(가마바위)-조조봉(비봉)-꼭지봉(갓무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갑산 정상부 태양열 시설물이다.
갑산을 내려와 잠시 능선길을 따른다.
08:48 도심역갈림길 통과, 지도상 이곳에서 우측 도심역 방향으로 두봉-조조봉-꼭지봉으로 연결되고 있다.
위 지점은 갑산에서 0.07Km, 새재고개 0.75Km, 우측 도심역 5.07Km
우측 도심역 방향으로 급내리막길이다.
우리는 새재고개 방향 직진이다.
오늘은 예쁜 소나무를 많이 보게 된다.
08:51 헬기장을 통과하여 계속 내려간다. 그런데 시간이 갈 수록 조망이 더 없어진다. 출발 시점에만 해도 날씨가 깨끗했는데
헬기장을 지나 내리막길이 계속된다.
내리막길에 전방으로 예봉산 방향이 조망되는데, 날씨가 점점 뿌옇게 변해 가고 있다. 비가 오는 날씨는 아닌데~
갑산에서 고도를 많이 떨어뜨린다.
08:56 전방의 새재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급내리막길이다. 헐~
좌측 재재고개 0.2Km 방향으로 급내리막길이다.
경사가 굉장히 심하다.
지그재그로 조심스레 내려선다.
중간에 뒤를 올려다 본다.
아직도 더 내려가야 한다.
경사지를 내려와 올려다 본다. 역방으로 가려면 힘좀 써야 할듯
09:01 새재고개 도착, 우측은 팔당역, 직진 계단길은 적갑산, 좌측 임도 운길산 방향이다. 우리는 중앙 계단길로 오를 것이다.
천마지맥 누리길 안내판이 있고
천마지맥 새재(345M)로 되어 있다.
새재에서 적갑산까지 1.9Km, 갑산에서 1.0Km 진행해 왔다.
새재고개 표지석
천마지맥 누리길은 큰명산-제공안산이 포함된 길인 듯 하다.
곧바로 적갑산으로 올라선다.
좌측 운길산 방향길
적갑산 오름길에 뒤로 갑산에서 내려선 길을 뒤돌아 본다.
새재를 출발한 된비알길 오름이다.
은근한 오름길이다.
09:07 이제 능선길에 올라서고 등로는 한결 편해진다.
전방에 보이는 운길산갈림길 능선으로 오를 것이다.
진행길 좌측으로 조망되는 운길산 방향이다.
등로는 워낙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좋을 수 밖에 없다.
오늘도 옆지기는 앞서 열심히 걷고 있다. 배가 고프다는 것을 적갑산 가서 먹자고 하여 억지고 끌고 간다. 그래 적갑산까지 가는 거야~
09:13 운길산갈림길(1) 통과
위 지점 새재고개에서 0.6Km 올랐고, 우측으로 적갑산 1.3Km, 좌측 운길산 3.0Km 지점이다.
다시 적갑산을 향해 움직인다.
09:16 운길산갈림길(2) 통과
적갑산 1.2Km 지점이다.
좌측 운길산 방향으로 경사가 꽤 심하다.
적갑산은 능선길 따라 직진이다.
09:17 좌측 목책을 지난다.
조금 더 진행하면
09:20 송전탑(#25) 하부를 통과하고
옆으로 쓰러져 자라고 있는 소나무를 지나치게 된다.
09:22 소나무 한 그루 서 있는 497봉에 올라서고
뒤 돌아서서 담아 본다.
전방으로 적갑산이 조망이 된다.
작은 오르내림이 이어지고
적갑산은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전방의 봉우리로 올라서고
09:27 499봉에 올라선 후 우측으로 꺽여
잠시 내려선 후 다시 적갑산으로 올라야 한다.
09:29 이정표가 나오면서
오늘 처음 예봉산 2.0km 라는 문구가 나온다. 새재에서 1.6Km 진행되었다. 나도 서서히 배가 고파온다. 하긴, 새벽 5시에 아침을 먹었으니 그럴만도 하다.
위 지점 이정표에서 한번 더 치고 올라야 한다. 우측으로 올라 좌측으로 더 진행해야 적갑산이 나온다.
배도 고픈데, 된비알길이다.
09:32 능선길에 올라 다시 좌측으로 꺽이고
능선길에서 한번 더 올라간다.
이 봉우리도 아니고
능선길 따라 더 진행하게 된다.
09:36 드디어 적갑산에 올라선다. 배고픈 옆지기가 더 일찍 올라간다.
적갑산은 도심역갈림길이기도 하다. 예봉산 1.7Km 남았다.
적갑산(560M) 정상석
인증샷을 하면서도 배고프니 빨리 뭐좀 먹자고 한다.
이곳에서 참외를 먹는데, 바람결이 제법 쌀쌀하다. 빨리 움직여야겠다는 생각이다.
09:46 적갑산에서 이제 철문봉을 향해 출발이다.
등로에 바위가 조금씩 많아 진다.
09:50 돌탑에서 우측으로 꺽이고
예전에는 표지판이 붙어 있었는데, 지금은 떨어져 나가고 없다.
위 돌탑에서 조금 내려서게 된다.
능선길을 따라 걷다 보면
09:54 물푸레나무 군락지를 통과하게 된다.
좌측에 쉼터가 있고
이내 철쭉 군락지도 지나게 된다.
철쭉이 피어날때 오면 예쁘겠다. 그러나 오름길이다.
군락지를 벗어나자 오름길 경사가 더 심해진다.
전방의 봉우리로 올라도
아무것도 없고, 계속 능선길 진행이다.
다시 능선길 따라 걷는다. 아직은 이른 시간이라 산객들이 붐비지 않아서 좋다.
10:01 전방으로 활공장 풍향계가 나부끼고
위 지점 좌측으로 활공장까지 트럭이 올라오는 임도 저 뒤로 예봉산 정상이 조망된다. 우측 철문봉으로 올라 좌측 예봉산으로 이어진다.
예봉산을 당겨 본다.
10:02 옆지기는 활공장에 올라섰다.
활공장하면 이 포즈이지, 뒤로 너무 뿌옇다.
아쉬운 조망이다.
'비상'이다.
바로 철문봉을 향해 출발이다.
전방에 철문봉이 조망된다.
능선길을 걷다
10:07 철문봉 직전 갈림길이다. 철문봉은 직진 오름길로 진행해야 한다. 좌측 우회로는 철문봉을 패스하고 억새밭으로 곧장 이어지게 된다.
우리는 직진길 철문봉 오름길 진행이다.
10:10 철문봉(630M) 도착한다.
철문봉에는 별도의 정상석이 없다.
철문봉 정상은 팔당1리갈림길이기도 한 곳이다. 예봉산 0.5Km 지점이다. 적갑산에서 1.2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철문봉을 인증합니다.
철문봉을 떠나면서 뒤돌아 본다.
이제는 예봉산을 향해 진행된다.
철문봉에서 내리막길을 진행하면
10:14 억새밭을 통과하게 되고, 전방으로 온전한 예봉산이 조망된다.
5년전 왔을때는 없었던 기상관측소가 생겼다.
억새밭에서 철문봉 방향을 뒤돌아 본다. 좌중앙길이 철문봉에서 내려온 길이고, 우측은 철문봉직전갈림길에서 좌측 우회로로 진행해 온 길이다. 역방향으로 진행시 유의해야 할 지점이다. 철문봉에 대한 이정표가 따로 없다.
억새밭을 지나 본격적으로 예봉산으로 오르게 된다.
된비알 계단길을 오르고
무너져 내린 등로를 힘들게 오르면
금방 예봉산 정상일 것 같지만, 더 가야만 한다.
쉼터도 지나고
다시 한번 더 오르고
이 바위를 오면 정상일까????
노노~ 조금 더 가야 한다.
이 데크를 보게 되면 정상인 것이다.
10:24 예봉산(683M) 정상 도착
수도권55산 및 천마지맥을 하는 우리는 율리봉 700M 방향 진행이다. 팔당역 2.88Km 방향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코스이다.
예봉산 정상석과 레이더강우 기상관측소, 정상석도 새로이 세워졌다.
우선 인증샷부터 남긴다.
예봉산 강우레이더 관측소
바로 아래 오래된 매점이 아직도 운영중이다. 이곳에서 어묵, 컵라면, 감로주 한잔으로 점심을 가름한다.
옛 예봉산 정상석을 모아 두었다. 우리는 이 정상석이 서 있을 때 와 보고 오늘 처음이다.
예봉산 전망데크에서 활공장(좌)과 우측의 철문봉을 조망해 본다.
10:42 예봉산에서 간단히 점심식사를 끝내고, 율리봉을 향해 내려선다.
우측으로 우리가 치고 올라야 할 예빈산(직녀봉)이 아득히 보인다.
예빈산(직녀봉)을 당겨 본다.
예봉산을 조심그레 내려선 후 올려다 본다.
예봉산에서 0.11Km 진행
전방으로 율리봉이다.
율리봉을 오르기 위해 벚나무쉼터로 내려간다.
10:52 벚나무 쉼터 통과
벚나무쉼터에서 율리봉 0.2Km를 치고 오른다. 팔당역에서 이곳으로 오를 수도 있다.
완만해 보이던 능선길이
오름길로 바뀌는데, 막 점심식사를 끝내고 배가 부른 상태에서 오르려니 두 배는 힘들게 느껴진다.
오름길에 예봉산을 뒤돌아 본다.
10:58 율리봉(585M) 도착
직녀봉 방향 우틀하여 진행한다. 운길산역을 가려면 조동마을 방향으로 직진하면 된다.
율리봉 인증
율리봉을 떠나면서 예봉산 정상부를 최대한 당겨 본다.
율리봉에서 우측 예빈산 방향으로 향한다.
율리고래까지 한동안 내리막길 진행이다.
내리막길에 올라야 할 예빈산이 높아만 보인다.
11:02 전망바위 아래 밧줄 내리막 구간도 지나고
좌전방으로 예빈산이다.
11:05 커다란 바위에서 우측 급내리막길 진행이다.
내리막길 경사가 굉장히 가파르다.
미끄러운 내리막길을 조심조심
잠시 능선길을 따르다가
쉼터가 있는 봉우리 하나 넘고
11:09 쉼터 봉우리 통과
다시 율리고개로 내려간다.
11:15 율리고개 통과
율리고개에서 예빈산 0.7Km, 이곳에서 팔당역으로 하산을 할 수도 있다.
율리고개를 지나 이어지는 길이
철쭉군락지를 지나면서 된비알길로 바뀐다.
철쭉군락지 통과
철쭉군락지에서 뒤를 돌아 본다. 예봉산(좌)과 율리봉(우) 방향이다.
나무계단길이 시작되고
11:18 보호소나무를 지나 오른다.
핸드폰으로도 남겨 둔다.
보호소나무 위로 예봉산(좌)과 율리봉(우)이다. 중앙이 쉼터봉우리였다.
보호소나무를 지나면서 계단길도 없어지고, 질퍽거리는 미끄러운 된비알길 오름이다.
11:25 능선길에 합류 후 좌측 예빈산 방향으로 다시 급된비알길이 이어진다.
위 지점 예봉산에서 1.83Km 진행이다.
급된비알길 오름이 다시 시작된다.
11:29 봉우리를 올라선 후 우측으로 능선길 진행이다.
이런 바위도 지나고
약간씩의 오르내림길을 이어간다.
전방으로 보이는 예빈산이 높아만 보인다.
갈수록 경사도 심해지고
오랜 세월에 흙은 씻겨 나가고
거친 바위를 치고 오르니
11:38 밧줄구간이 나오는데, 좌측으로 우회길도 있다. 나는 이 바위를 올라서고, 옆지기는 좌측 우회길을 이용한다.
멋진 조망을 제공해 준다.
11:40 예빈산(직녀봉) 도착. 천마지맥갈림길이기도 한다.
예빈산(직녀봉, 590M) 정상석
정상석 뒤로 팔당대교이다.
예빈산 정상부, 이곳에서 천마지맥은 '직녀봉' 안내판과 이정표 사이로 진행해야 한다.
안내판 우측 뒤로 천마지맥길이 이어진다.
수도권 55산 이어가기는 예빈산에서 팔당댐 2.3Km 방향 진행하게 된다. 이곳에서 천마지맥길과 헤어지는 것이다.
예빈산 정상에는 액자포토존이 설치되어 있다.
예빈산을 인증합니다.
이건 뭐지??? 연습삼아 찍어 본건가??
이제부터 핸드폰 카메라로
팔당대교 방향, 최고의 포토존이지만 조망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좌측으로 다음 구간 올라야 할 검단산이다.
예봉산도 담아 보고
옆지기도 다시 불러 한장 더 담아 본다.
마지막으로 예봉산을 당겨 보고
11:46 이제 우리는 견우봉을 향해 팔당댐 2.3km 방향으로 출발한다.
예빈산에서 급내리막길을 조심스레 진행한다.
능선길에서 밧줄 난간이 계속 이어진다.
11:50 저 위쪽 바위에 올라
지나 온 예빈산과 저 멀리 예봉산을 담아 본다.
11:54 예빈산 견우봉 도착
팔당댐으로 내려서는 길에 있는 승원봉이 조망된다.
우측으로 검단산
좌측으로 두물머리 방향이다.
우리는 팔당댐 방향으로 수도권 55산을 이어가지만, 일반 산객들은 우측 팔당유원지 방향으로 많이 하산을 하게 된다.
견우봉 인증
견우봉에서 막힘 없는 최고의 조망처로 나간다.
다만, 날씨가 너무 아쉽다.
전방의 승원봉
우측에 검단산과 용마산까지
조망바위에서 조심조심 돌탑을 지나 내려간다.
좌측 아래로 운길산역 방향이다.
내리막길이지만 등로가 쉽지는 않다.
12:08 한참을 내려와 견우봉을 올려다 본다. 꽤 경사지를 내려선 것이다.
좌측에 녹색 천막이 있는 봉우리를 올라서면
12:11 승원봉(478M)에 도착한다.
승원봉 삼각점
승원봉에서 팔당댐까지 1.4Km, 직녀봉(예빈산)에서 0.8Km 진행해 왔다.
승원봉에서 또 급내리막길 진행이다. 만만한 구간이 없다.
밧줄 난간을 따라 내려간다.
약간씩의 오르내림이 이어진다.
이 길은 좋다.
12:24 우측에 조망바위를 지나고, 날씨가 좋았다면 나가 볼텐데~ 패스다.
12:26 운동시설 지대를 지난다.
운동시설 지대를 내려서면
12:32 삼각점봉(266M) 통과
12:34 천주교묘원 상단부 통과
녹색팬스에서 좌측 묘원 도로 따라 진행해도 되지만, 우리는 조금더 능선길 따라 진행한다.
12:36 이곳에도 삼각점이 있다.
묘원 도로와 나란히 진행되는 능선길
12:37 이제부터 산길을 버리고 좌측 묘지 포장길 따라 하산을 한다. 일부 산꾼은 능선길을 계속 진행하여 팔당댐삼거리 정류장까지 진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는 묘원 도로 따라 진행한다.
묘원 내 도로도 경사가 매우 급하다.
봉안대교를 당겨 본다.
교각 아래로 진행된다.
옆지기는 스틱을 정리하고 계신다.
이곳 도로를 만나서 좌측으로 진행된다.
좌측 버스정류장으로 이동한다.
천마 누리길 날머리가 되겠다.
천마 누리길 종점부, 천마지맥은 이곳을 지나지 않는다.
12:53 천주교(공원)묘지입구 정류장 도착, 산행종료, 팔당역 행 버스가 18분 후 도착 한다고 전광판에 나온다. 이곳에서 정비를 끝내고 버스를 기다린다. 물이 없어 물티슈로 땀에 절은 소금기만 제거를 한다.
우리는 167번 버스를 타고 팔당역으로 이동한다.
13:30 팔당역 도착, 용산역까지 이동 후 귀가한다. 팔당역에서 용산역 5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