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걷는길/수도권 55산

수도권 55산 제15구간(남한산-청량산-검단산-망덕산)

수도권 55산 이어가기

제15구간

산행 일자 : 2022년 4월 9일(토)

산행 구간 : 은고개-남한산-동장대터-북문(전승문)-연주봉-서문(우익문)-청량산(수어장대)-남문(지화문)-검단산-망덕산(왕기봉)-이배재(약15.4Km)

함께한 이 : 왼발, 오른발 부부

 

코로나-19로 2주간 멈췄던 수도권55산을 이어간다.

금요일 예보상으로는 08:00경까지 비가 예보되어 있었다.

새벽에 일어나 보니 밖에 비는 내리지 않고 있어 다행이다.

이른 새벽 아침밥을 챙겨 먹고 전철에 몸을 싣는다.

군자역에서 5호선 환승 후 천호역에서 13번, 13-2번 버스로 갈아 타고 은고개에 내려서 산행을 시작하게 된다.

천호역에서 버스를 탈때 까지만 해도 비는 없었다.

오늘 비예보가 틀렸나 보다

그런데 상일동을 지나면서 빗방울이 내리기 시작하더니 점점 빗줄기가 굵어 진다.

낭패다. 우산도 챙겨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은고개에 도착할 때까지도 비는 그치지 않는다.

다행히 은고개입구 정류장에 도착 후 산행준비를 하는 동안 빗줄기는 빗방울 수준으로 바뀐다.

간단하게 치마우의를 배낭위에 걸쳐 입고 산행을 시작한다.

산행시작 후 약 20여분가량 비가 오락가락 하다가 결국 멈춘다.

이곳에는 많은 비가 내리지 않았는지, 등로의 흙먼지를 덮어주는 정도로 산행하기에 딱 좋다.

지난 검단산, 용마산 구간에서는 많은 눈으로 고생을 했지만

오늘은 등로 주변에 진달래가 만개해 우리를 반겨 준다.

은고개에서 남한산성 성곽길까지는 약 4Km 정도 꾸준하게 오르내림을 반복하게 된다.

남한산성 접속 후 등로는 성곽길 따라 걷게 되고,

지화문(남문) 이후 검단산까지 기온이 한껏 오른 이후 오름길이 한 여름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검단산에서 망덕산 구간은 전형적인 육산으로 동네 산책길 수준이다.

후반부 기온이 올라 얼음물이 필요할 정도였다.

이배재고개까지 진행 후 더 진행 할 것인지 여부를 고민하다가 무리하지 말자는 생각에 산행을 종료한다.

 

전승문(북문) 방향으로 진행 중에 중앙의 수어장대(청량산)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지화문(남문) 우측으로 연주봉까지 한눈에 펼쳐진다.
우익문(서문) 전망대에서 서울시내 조망이다.
수어장대에서 영춘정으로 진행하는 중간 남장대지 뒤쪽으로 검단산까지 조망된다.
남한산,청량산,검단산,망덕산 등산지도
수도권55산_남한산청량산검단산망덕산_2022-04-09_0806.gpx
0.14MB
07:00 천호역 3번 출구, 천호역현대백화점 정류장에서 13, 13-2번 버스를 기다린다. 약 7분 후 도착이라고 한다.
우리는 은고개입구 정류장에서 하차를 하게 된다. 문제는 천호역 출발까지만 해도 비는 전혀 없었다. 상일동 인근을 지나면서 꽤 많은 비가 내린다. 산행을 고민해봐야 할 정도였다. 장맛비처럼 쏟아 붓는다.
08:00 은고개입구 정류장 도착, 아직까지 비가 내리지만 빗줄기는 가늘어 진다. 산행준비를 하면서 잠시 기다린다.
빗줄기가 빗방울로 바뀌면서 우산 대신으로 치마우의를 꺼내 입고 산행을 감행한다.
은고개입구삼거리 방향이다. 지난 구간 저곳 횡단보도를 건너왔었다.
08:07 은고개입구 정류장을 출발하여 산행을 시작한다. 전방의 만두집 입구쪽으로 진행한다.
만두집 입구에서 좌측 돌계단길을 오르게 된다.
우리 1차 목적지 벌봉 4.4Km 방향을 보고 진행한다.
08:09 먼저 옆지기가 앞서 계단길을 오른다. 이 계단길은 상단부의 묘지를 오르기 위해 조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돌 계단길을 올라서면
잘 조성된 묘지 주변에 진달래가 피어 있고, 묘지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오르게 된다.
2주만에 산행에 나서게 되는 옆지기의 오늘 컨디션이 어떨지 걱정이다.
지난 구간에는 눈길이었는데, 이제는 진달래가 만발이다.
묘지 상단부에서 지난 구간 지나왔던 엄미리 굴다리낚시터 방향으로 조망해 본다.
좀 더 당겨 본다. 중부고속도로가 지나고 있다.
묘지 상단부를 지나면서 본격적인 등산로를 걷게 된다. 이곳은 비가 적당히 내렸는지 흙먼지가 날리지 않을 정도로 등로가 미끄럽지도 않고, 딱이다.
우측으로 꺽인 등로는 전방의 303봉을 오르게 된다.
묘지 한쪽에 진달래와 개나리가 어우러져 있다. 봄비와 망토라니~
08:18 303봉으로 오름길에 밧줄 난간이 나오고, 중간쯤 오르다보면 좌우갈림길이 나오게 된다. 우측은 303봉 우회로이고, 직진 밧줄길을 계속 따라 오르면
08:22 303.1M 삼각점 봉우리에 올라서게 된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꺾이게 된다.
검단지맥 303.1M 표지판이 있다.
303봉에서 진행방향의 능선길을 조망해 본다. 맨뒤쪽의 능선까지 올라서야 한다.
303봉 우회로 따라 진행했던 옆지기를 다시 만나서 조금 더 내려가면
08:25 303고지 갈림길 이정표를 통과한다.
우리는 엄미리(은고개)에서 0.9Km 진행해 왔고, 직진 벌봉 3.1Km, 좌측 엄미리계곡 0.4Km
걷기 편한 능선길을 따라 걷는다.
303봉까지 치고 오른 이후 편안한 능선길 따라 걷는다.
08:36 송전탑(#84) 하부 통과
약간씩의 오르내림이 있지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08:39 육산에 바윗길 같은 곳을 지나 저 앞쪽의 봉우리로 올라야 하는가???
08:39 등로는 봉우리로 오르지 않고 좌측 사면길 따라 진행이다.
사면길 따라 잠시 진행 후
급경사지를 내려서게 된다.
중앙 전방의 봉우리를 보고 진행하게 된다.
조금 전 내려선 봉우리를 배경으로
등로 주변에는 진달래가 만발이다. 앞쪽의 오름길을 올라서고
진달래의 환영을 받으며 걷는다.
08:46 벤치쉼터를 지나고
꽃길을 걷게 된다.
다행히 빗방울이 멈춰 치마우의를 벗었다. 한결 시원하다. 벌써 시원하다는 단어를 써야만 하다니~
꽃길을 걷는다.
08:49 우측에 묘지가 좌측으로는 농장 비닐하우스가 있는 지점을 지난다.
등로는 무난하다.
08:54 전방의 346고지 이정표로 올라서게 된다.
벌봉 2.0Km, 은고개 1.7Km라 되어 있다.
위 지점에 서 있는 이정표, 좌측이 엄미리이다.
은고개 방향은 바닥에 떨어져 있다.
위 지점에 벤치2개 쉼터가 있다.
조금 더 진행하면
08:56 엄미리계곡갈림길을 지나게 된다.
엄미리(은고개) 3.0Km, 좌측 엄미리계곡 0.7Km
벌봉 1.3Km 방향 직진이다.
08:59 오름길갈림길에서 좌측 밧줄난간길 방향 진행이다. 우측으로도 등로가 있다.
원형나무계단길을 오르게 되고
09:01 우측에서 올라오는 능선길과 합류되어 좌측방향 진행이다.
좌측으로 진행하여 벤치2개가 있는 봉우리를 오르게 되고
다시 잠깐 내려선 후
편안한 등로를 진행하면
09:05 이정표를 만나게 되고
벌봉 1.0Km, 엄미리(은고개) 3.3Km임을 알려준다.
이후 다시 편안한 등로를 진행하게 되고
09:08 좌측의 돌멩이가 있는 지점도 통과하여 전방의 능선으로 오르게 된다.
완만한듯 보이는 능선길이 꽤 길게 이어진다.
위에서 내려다 보니 경사가 꽤 있다.
09:16 남한산성 성곽길에 올라서게 된다.
성곽길에 올라서면 한봉/큰골갈림길이다. 벌봉은 우측 방향으로 진행된다.
엄미리(은고개) 3.9Km 진행해 왔다. 좌측 한봉 1.1Km
우측 벌봉까지 0.4Km 남은 지점이다. 우리는 동장대(터) 방향으로 가게 된다.
잠시 무너져내린 성곽길 따라 걷게 되고
성곽길에 올라 우측 저 멀리로 지난 구간 지났던 검단산과 용마산 능선길을 조망해 본다.
살짝 좌측으로 검단산 뒤 한강 건너로 예봉산이 조망되고, 희미하지만 뾰족한 고래산과 그 좌측으로 백봉산까지 조망된다.
전방 우측의 나무에는
남한산 정상 가는길 100M 안내판이 붙어 있고
성곽길에 삼각점이 있는데, 실제 이곳이 남한산 정상이 되겠다.
실질적 남한산 정상 삼각점
성곽보존을 위해 이 지점에서 전방 좌측 100M 지점에 남한산 정상석을 만들어 두었다.
좌측으로 동문 방향과 저 멀리 광주시 검단산이다.
성곽길 보존이 절실해 보인다.
좌측 아래 이정표를 보고 내려선다.
우측으로 벌봉 0.2Km 지점이지만, 오늘 벌봉은 패스하고, 직진 전승문(북문) 1.7Km 방향 진행한다.
우측에 암문이 있다. 이곳으로 벌봉을 나갈 수 없다.
09:22 남한산(522M) 정상석, 정상석 뒤쪽 등로로 진행하면 벌봉을 다녀 올 수 있다. 오늘은 패스이다.
남한산 안내문, 성곽 보호를 위해 이곳에 정상석을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남한산 정상 인증
우리는 곧장 동장대(터) 방향 진행한다.
09:27 은고개갈림길 통과
현위치 은고개갈림길
위례둘레길(북문) 방향 직진이다. 우측으로 벌봉 0.2Km
위 지점의 군포지 안내판
위 지점에서 커다란 바위를 지나
전방의 동장대(터) 아래 봉암문을 향해 진행한다. 약간 이른 시간이라 사람들이 없어 한산하다.
동장대(터)에서 좌측 동문으로 이어지는 성곽길, 좌측 저 멀리 군부대가 위치한 검단산이다.
지나 온 등로를 뒤돌아 본다.
오늘 지나야 할 검단산을 당겨 본다. 좌측 멀리 망덕산(왕기봉)까지 조망된다.
09:32 봉암성으로 들어간다.
봉암성문을 통과해
남한산성 본 성곽으로 들어선다.
좌측의 제3암문으로 들어가게 된다.
남한산성 제3암문(봉암성 암문)
우측 전승문(북문) 1.4Km 방향 진행이다. 성곽길로 올라서 성곽길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제부터 지화문(남문)까지 성곽길 따라 진행하게 된다.
내리막 경사가 꽤나 된다. 우측으로 금암산을 지나 서하남IC 방향이다.
제2군포터로 내려서고
09:39 제2군포터
위 지점에 있는 제4암문(북암문)
제4암문(북암문), 남한산성 본성으로 되어 있다.
이후로도 성곽길 따라 진행된다.
전승문(북문)으로 이어지는 성곽길
중앙의 수어장대(청량산)로 이어지는 성곽길이다.
우측이 수어장대(청량당)이고, 중앙이 영춘정이다.
우측 끝자락이 연주봉이다.
09:46  현절사갈림길 통과
전승문(북문) 0.7Km
우측으로 강동구와 서하남 방향이다.
위례둘레길(새재)와 그 뒤로 검단산과 예봉산이 조망된다.
지나 온 동장대(터) 방향을 뒤 돌아 본다.
09:53  전방의 전승문(북문)은 해체 및 복원공사가 진행중이다.
공사 이전의 북문(전승문) 모습이다.
전승문(북문) 앞 산책로로 내려선 후 우측의 성곽길로 다시 올라서게 된다. 성곽길이 힘들다면 도로 따라 수어장대까지 진행 할 수 있다.
북문(전승문)은 해체 후 복원공사가 진행중이다.
다시 우측 성곽길로 복귀하여 오름길 진행이다.
10:00  북장대터
북장대터에서 다시 산책길로 내려선다.
산책로 이정표
10:02 다시 산책로를 버리고 우측 성곽길로
전방 우측에 연주봉이 조망된다.
연주봉을 당겨 본다.
다시 산책로를 만나게 되고
10:06 이곳에서 다시 우측 성곽길 진행이다. 이곳에서 성곽길 진행해야 연주봉을 갈 수 있다.
기온이 서서히 오르면서 거친 숨을 몰아 쉬면서 오른다.
10:09 연주봉옹성,
제5암문 연주봉옹성 암문을 통과하여 연주봉을 다녀 온다.
제5암문을 통과해 밖으로 나간다.
옆지기가 앞에서 기다리고 서 있다.
제5암문을 뒤돌아 본다.
연주봉으로 간다.
연주봉에서 동장대(터)와 우측 아래 동문 방향이다.
수어장대(우)와 검단산(좌)
하남 검단산과 용마산 능선이다.
제5암문으로 되돌아와 이제는 성곽 바깥을 걷는다.
연주봉 아래쪽으로 궁안갈림길
성곽길 바깥쪽을 걷는다.
우익문(서문) 가기 전에 전망데크가 있다.
전망데크에서 서울시내를 조망해 본다.
잠심 롯데타워와 한강이다.
좌측으로 청계산과 우측 저 멀리로 관악산이다.
위 전망데크가 쌍바위약수 갈림길이다.
전망데크에서 우익문(서문)으로 진행한다.
10:24 서문(우익문)
수어장대 1.0Km
우익문(서문) 안쪽으로 들어와 산책길 따라 수어장대로 걷는다.
우익문(서문)을 뒤돌아 보고
수어장대로 간다.
10:39 수어장대로 들어간다.
수어장대와 청량당
계단길을 올라서기 전 우측에
멋진 향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수어장대로 들어선다.
수어장대를 나서면서 한번 더 돌아 본다.
10:45 청량산 삼각점이 있는 쉼터로 이동했다.
청량산 삼각점
수어장대에서 내려오는 계단길을 만나서 우측 진행이다.
지화문(남문) 1.4Km
제6암문(서암문)
성남시내와 서울공항 방향이다.
전방의 영춘정으로 올라서게 된다.
10:52 영춘정
지화문(남문) 0.7Km
이제 지화문(남문)을 지나 검단산으로 진행하게 된다.
전방의 봉우리로 올라 지화문(남문)으로 내려가게 된다.
11:02 지화문(남문) 도착, 검단산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계속 직진하면 안된다. 지화문으로 내려선 후 성문을 통과하여 밖으로 나간 후 좌측길로 진행해야 한다.
남한산성 지화문(남문)
성 밖으로 나온 후 좌측 방향 진행이다.
이제부터 성남누비길 검단산길 구간 제2구간이 시작된다.
검단산 정상을 향해 진행한다.
좌측 남한산성 제1옹성 우측 등로 따라 진행된다.
뒤쪽으로 남한산성 본성이다.
11:13 쉼터 정자,
위 지점 검단산 2.0Km
남한산성 제1옹성 안내판
11:15 군사도로 합류, 이곳부터 도로 따라 검단산 정상까지 계속 가도 된다. 가능하면 포장길 우측의 등로를 따라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낮기온이 쑥쑥 오르면서 검단산 정상까지 오름길이 만만치 않다.
검단산 방향 진행된다. 이정표가 너무 자주 나오는 것도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도로 우측으로 등산로가 나란히 이어진다.
포장길이 더 힘들기에 등산로 따라 진행한다.
11:25 이 지점부터는 아예 등산로도 없어지고, 포장길 오름을 진행해야 한다.
은근한 오름길에 낮 기온이 오른 상태에서 힘들게 한다. 현재 23도 까지 오른 상태이다.
우측은 과거 지뢰매설 지역이다.
힘들게 포장길을 오른다. 이런길 정말 싫다. 우측은 지뢰매설 지대로 등산로를 이용 할 수 없다. 군부대에서 계속하여 안내방송이 흘러 나오고 있다.
11:36 한양삼십리누리길,
위 지점에서 이배재고개로 곧장 갈 수도 있다. 그러나 검단산 정상을 찍기 위해서는 직진 포장길 진행이다. 이배재고개 3.0Km
군부대 정문에서 좌측 헬기장 방향 진행이다.
이곳에서 좌측 비포장길 진행이다.
좌측 비포장길 직진길 진행이다.
우측은 황송공원 방향 진행이다. 검단산 방향 이정표가 없기 때문에 그냥 비포장길 직진하면 된다.
11:40 검단산 헬기장 도착
검단산 정상석
이배재고개는 성남누비길 따라 진행된다.
검단산 정상에서 내려선 후
11:43  삼거리에서 우측방향 성남누비길 진행이다.
이배재고개/망덕산(왕기봉) 방향 진행이다.
이배재고개 2.6Km, 망덕산(왕기봉) 1.7Km
새싹이 파릇파릇하고 꽃과 함께 어우러진다. 봄을 지나 여름 기운이 물씬 풍기는 날이다.
곳곳에 쉼터와 이정표가 난무한다.
우리의 목적지 망덕산(왕기봉) 방향 따라 진행이다.
11:46 상대원능선
망덕산(왕기봉) 방향 직진이다.
좌측은 불당리/윗말 방향이다.
더운 날씨에 점심을 먹을 수 있는 그늘을 찾는데, 마땅치 않다.
이곳에서 먹을까? 하다가 그늘이 없어 건너편에 약수터가 보이기에 그곳으로 옮긴다.
만수천약수터로 간다.
11:49 만수천약수터
물이 졸졸 흐르지만 마시고 싶은 생각은 없다. 일단 이곳 약수터 앞 벤치에 앉아 간단히 점심을 먹는다.
12:01 간단한 점심을 마치고 다시 산행을 이어간다.
망덕산(왕기봉) 1.2Km 남은 지점이다.
곳곳에 성남누비길을 단장하고 있는 듯 하다.
옆지기는 어떤게 전나무냐고 묻는다. 옆에 작은 나무가 전나무라고 알려 준다. 주변에 커다란 나무만 올려다 보고 있다.
앞쪽에 망덕산(왕기봉)이 높아 보인다.
12:06 사기막골갈림길
망덕산(왕기봉) 0.8Km
이정표마다 거리 표시가 다르다. 이런 이정표 거리보다 119소방서 이정목 거리가 더 정확한 듯 하다.

 

12:13 두리봉갈림길, 전방의 계단을 올라서면 망덕산이다. 두리봉은 좌측이다.
위 지점 사기막능선
원형 통나무 계단길을 올라선다.
12:16 망덕산(왕기봉) 도착
망덕산(500.3M) 정상석
망덕산 정상에서 내리막길 진행이다.
12:20  망덕산 정상 밑 이정표 통과
이배재고개 1.5Km
다시 전방의 봉우리로 올라선다. 힘들지 않은 코스이다.
12:24  보통골갈림길
이배재고개 1.3Km
12:25  보통골갈림길 이정목
이배재고개 0.7Km, 여기서 이배재고개는 이배재정상을 일컫는 듯 하다.
좌측 아래에 아주 멋진 전망포인트가 있다.
다시 능선길을 진행한다.
지천에 생강나무와 진달래가 피었다.
12:28  목현동버스정류장갈림길
이배재고개 0.99Km
잠시 후 봉우리를 올라서면
12:30 이재배정상
이배재고개 1.0Km 남았다.
이배재정상에서 망덕산(왕기봉)과 그 뒤로 검단산을 뒤돌아 본다.
현위치 이배재정상
이배재정상에서 이배재고개로 내려간다.
약간의 경사지를 조심조심 내려선다.
12:38  목현2통 성동주유소 갈림길
우리는 이배재고개로 내려선 후 목현2통 성동주유소까지 걸어 내려간 후 버스를 타고 모란역으로 가게 되다. 일단 이배재고개 진행이다.
12:44 이배재고개로 내려선다.
이배재고개 생태육교
다음 구간은 이곳에서 불곡산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생태육교를 건넌다.
좌측은 광주시 탄벌동
우측은 성남시 경계이다. 우측 아래 쉼터로 내려갈 것이다.
12:47 이배재고개로 내려선다.
이배재고개 표지석
무더운 날씨 2주만에 진행하는 산행에 고생 많았습니다.
개인정비를 끝내고 탄벌동 방향으로 약 900M를 도보로 내려간다.
삼거리 목현2통 성동주유소 정류장에서 모란역으로 나가는 버스를 탈 것이다.
위 정류장에서 31-2, 31-3번 버스를 타고 모란역 6,7번 출구에 하차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