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국립공원
산행 일자 : 2020년 11월 18일(수)
산행 구간 : 성판악휴게소-속밭대피소-진달래밭대피소-백록담(동능)-성판악휴게소(약 19.2Km)
함께한 이 : 왼발,오른발 부부, 둘째 딸
제주 산간지역 강풍주의보 발령까지 되었던 한라산 백록담 등정
삼각봉대피소 인근은 초속 26까지 강풍이 관측되었단다.
그러니 백록담 정상부는 사람이 서 있을 수 없을 정도였다.
결국 백록담 정상까지 다녀왔다.
악전고투 끝에
날씨가 좋았다면 성판악-백록담-관음사지구로 내려갈 예정이었으나,
일기예보상 비가 있다고 한다.
할 수 없이 우중산행을 계획하고 준비를 하였다.
우선 성판악휴게소에 물품보관함이 있어 별도로 짐을 분류하여 보관한다.
다음 따뜻한 물과 컵라면을 준비하여야 하는데, 성판악휴게소는 그러한 물품을 취급하지 않는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공항검색대 통과 후 공항내 편의점에서 컵라면과 뜨거운물을 구하기로 했으나
공항 편의점은 라면종류는 취급하지 않는다.
헐~
하는 수 없이 일단 CU편의점 판매 밥버거만을 구입하고,
제주시내 편의점에 들러 컵라면과 뜨거운 물을 준비한다.
결과적으로 그렇게 준비해서 올라가길 정말 잘했다.
그렇지 않았으면 곤욕을 치를 수 있을 날씨였다.
애초 07:10분 제주공항 도착
07:20 181번 직행버스로 성판악 도착이었으나,
비행기 지연출발로 07:30분이 되어서야 공항도착
이걸 전화위복 삼아서 택시를 이용하여 성판악까지 이동하며, 중간 시내편의점에서 라면과 뜨거운물을 구할 수 있었다.
택시요금 21,000원
성판악휴게소 도착하니 안개주의보가 내려진 상황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어둡기만 하다.
기온은 포근하다. 그 당시에는
진달래밭대피소 이후 날씨는 급변한다.
강풍주의보에 짙은 안개로 기온은 급격하게 낮아진다.
우리는 우비까지 모두 준비를 해 갔기에 그걸로 대처를 한다.
1800M 이후 더 강해진 강풍은 건장한 성인남자도 옆으로 밀어 버리는 위력을 발휘한다.
태어나 이렇게 강한 바람은 나를 비롯 딸은 더더욱 처음이다.
약간은 겁이 나기도 한다.
그러나 어렵게 이곳까지 왔으니, 정상인증을 해야겠고
정상 안내소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곧바로 하산을 강요하는 안내방송이 나오고
진퇴양난속 기다림 끝에 백록담인증을 마친다.
다시 진달래밭대피소로 급히 대피하듯 내려와 이곳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진달래밭안내소는 출입통제 상태로 정상진입을 못하게 하고 있었다.
10:30 우리가 진입한 이후 11:00부터 통제가 되었다고 한다.
어찌되었든 딸과 함께 한라산 백록담 정상 인증을 무사히 마치고 하산했다.
이로서 국립공원 22개소 정상을 모두 등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