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3년도

삼성산 & 호암산

삼성산, 호암산 연계산행

 

산행 일자 : 2023년 2월 26일(일)

 

산행 구간 : 관악역-학우봉-삼성산국기봉-삼성산-장군봉-민주동산국기봉-불영암-석수역(약 10.9Km)

 

함께한 이 : 둘째 딸과 함께

 

 

 

오늘은 둘째와 함께 산행길에 나선다.

 

다른 가족들은 집콕이다.

 

단촐하게 짐을 챙겨 집을 나선다.

 

날씨가 완연한 봄이다.

 

 

삼성산 제2전망대
학우봉에서 제2전망대 방향으로
학우봉에서 삼성산 국기봉 방향으로
삼성산호암산_2023-02-26_0901.gpx
0.10MB
관악역을 나와 안양에술공원 방향으로 진행한 후 삼성초등학교 옆 들머리까지 이동한다.
삼성초등학교 옆 삼성산 들머리
삼성산 정상까지 4.7Km
들머리에 공중화장실이 있다. 마지막이다.
전방에 제2전망대 봉우리가 높아만 보인다.
여기는 어딘가???
아! 제2전망대 1.24Km 남았다고~
진행길 좌측 금강사에서 올라오는 길을 지난다.
안양예술공원갈림길(1) 통과
제2전망대 방향으로 고고~
우리가 지나 온 능선이다.
좌측 수리산부터 한장에 담아 본다.
오늘 공식 인증이다.
좌측 저 멀리 보이는 수리산을 설명해 주는데도, 별 관심이 없는 듯 하다.
그래 그냥 걷기나 하자
이곳에서 간단한 요기로 아침을 대신하고 간다.
따뜻한 아메리카노 한잔과 샌드위치로 간단하게
먹었으니 이제 제2전망대를 향해 출발이다.
194.8봉 삼각점
삼막사갈림길에서 국기봉 방향 진행이다.
안양예술공원갈림길(2) 통과, 우측 안양예술공원 방향이 제1전망대에서 오르는 길이다.
제1~2전망대사이 이정목 통과
드디어 삼성산 국기봉이 조망된다.
좌측의 조망바위로 올라선다.
조망바위에서 제2전망대를 올려다 본다.
우리가 올라온 능선이다.
우측 안양예술공원 건너편으로 망해암이다.
제1전망대 뒤로 군포 수리산이 조망된다.
삼막IC 방향이다.
딸래미 핸드폰으로 들어가본다.
셀카 놀이중
제2전망대로 오름길에 조금전 머물렀던 조망바위를 뒤돌아 본다.
좌측 제2전망대(쉬운길) 방향으로 올라서서
데크쉼터에 올라선다.
데크쉼터에서 제2전망대를 올려다 본다.
제2전망대 밑 데크쉼터에서
삼막IC
경인교대 경기캠퍼스
좌측 사면길 따라 제2전망대로 오른다.
나무계단을 올라서면
삼성산 제2전망대에 올라서게 된다.
제2전망대에서 조망이 아래쪽 데크쉼터 조망보다 못하다.
그래도 인증을 해야겠기에
이제 학우봉을 향해 출발이다.
전방의 학우봉으로 오를 것이다.
학우봉(좌)과 삼성산 국기봉(우)
지나 온 제2전망대
학우봉을 우회하지 않고 곧바로 사족보행으로 오른다.
학우봉 오르는 암릉이다.
영치기 영차~
저 위에 딸을 앉혀 놓고 사진을 찍으려고 한다.
내일 팔 좀 아플듯 하다.
무서워 위로 올라서지를 못하고 있다.
내가 직접 올라가 손을 잡아 앉혀 놓고 다시 되돌아 내려왔다.
학우봉에서 진행 방향의 삼성산 국기봉과 삼성산 정상부 능선이다. 좌측 소나무 아래 학우봉 정상석이 있다.
제2전망대 쉼터 봉우리를 내려다 본다.
딸래미가 언제 찍어 놨는지~
삼성산 학우봉(368M), 나와는 인연이 깊은 정상석이다.
딸에게 정상석이 세워지 사연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준다.
학우봉에서 이제는 삼성산 국기봉을 향해 진행한다.
국기봉 좌측 아래 삼막사를 당겨 본다.
삼성산 국기봉에 태극기가 휘날리고 있다. 좌측 아래 수직 암벽구간은 아예 철책으로 막아 놓았다. 이제는 갈 수 없는 곳이다.
다시 삼막사, 뒤쪽 시설물 있는 곳이 실제 삼성산 정상석이 있는 곳이다.
안양예술공원갈림길 통과
국기봉 0.7Km
지나 온 제2전망대(좌)와 학우봉(우)이다.
이제는 오를 수 없는 수직 암벽구간을 당겨 본다.
염불사/삼막사 갈림길 통과
국기봉 0.3Km 방향 진행이다.
나무계단을 오른다.
암릉구간을 우측으로 우회하여 진행한다.
진행해 온 능선을 뒤돌아 본다.
일주일 운동하지 않은 자책감에 오늘 산행에 동참하겠다고 따라 나섰는데, 고생이 많다.
좌측 아래로 삼막사
이제 국기봉 0.1Km 남았다.
마지막 힘을 내요~
삼성산 국기봉(477M) 도착
관악산을 배경으로
건너편으로 관악산 주능선이 조망된다.
국기봉에 왔으니, 태극기를 배경으로 한컷 더
국기봉을 떠나 삼성산 정상석 방향으로 이동한다. 능선에 멋진 고사목이다.
비행기 한 대가 찬조 출연한다.
좌측 철구조물이 서 있는 곳에 실질적인 삼성산 정상석이 세워져 있다.
관악산 연주대 정상부를 배경으로
둘이서 셀카도 한장 남기고
좌측 암릉구간은 아래쪽으로 우회하면서 올려다 본다.
이 암릉구간을 우회하여 진행했다.
좌측으로 탁트인 조망처에서 가야 할 호암산 능선을 조망해 본다.
국기봉에서 0.1Km 진행했다.
삼성산 0.4Km 방향 진행이다.
삼성산(좌)과 관악산 연주대(우) 능선이다.
455M 삼각점
지나 온 국기봉 방향이다.
삼성산으로 향한다.
옷색과 바위색이 비슷해서
실제 이곳이 삼성산(481M) 정상이다.
이 정상석에도 사연이 있단다.
마침 지나가는 산객에게 부탁해서
이제 호암산으로 진입한다.
호압사 방향 진행이다.
이곳 근처 넓은 바위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김밥과 컵라면으로 한끼 해결한다. 햇살이 너무 따뜻하다.
점심 식사를 마치고 깔딱고개를 내려선다.
깔딱고개 아래 갈림길
이곳에서 제1쉼터 방향 진행이다.
장군봉, 호압사 방향 진행
운동장바위위 위치표지판에서 직진길을 버리고 우측 방향 장군봉으로 향한다.
위 지점에서 우측 장군봉,칼바위 방향 진행이다.
장군봉에 있는 오리바위에서 한컷 남기고 간다.
제1야영장/헬기장 통과
위 지점 제1야영장에서 호압사 방향 직진이다.
기상관측장비를 통과하여
민주동산국기봉 헬기장 도착
우측 전망대로 향한다.
민주동산국기봉 아래 돌고래바위, 쓰담쓰담
호압사갈림길 통과, 호암산성(불영암) 방향 진행이다.
우측 아래로 금천구 시흥동 방향
전방 봉우리에 있는 불영암을 향해 속보로 진행한다.
호암산성 도착
호암산성 석구상
불영암을 들러 본다.
불영암 대웅전
문화재 발굴지를 지나고
헬기장도 통과한다.
우측의 신랑각시바위로 나가 본다.
호암산 신랑각시바위
관악역/금강사갈림길에서 우측 석수역 방향 진행이다.
이제 급내리막길을 내려선다.
호암숲공원으로 내려서면서 산행을 종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