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2년도

북악산(백악산)

북악산(백악산)

 

산행 일자 : 2022년 10월 23일(일)

산행 구간 : 경복궁역-청와대분수대-춘추문-백악정-청와대전망대-만세동방-청운대전망대-숙정문-곡장-청운대-백악마루(백악산)-창의문(자하문)-경복궁역

함께한 이 : 가족들과 함께

 

 

온 가족이 함께하는 가을산행이다.

 

애들이 먼저 가을 산행을 한번 하자고 제안해 이루어진다.

 

지난 여름 우면산, 점봉산, 북설악 성인대 이후 간만에 함께 하는 산행이다 보니 챙길 것이 많다.

 

이번주는 근교에 있는 북악산이다.

 

점심 산책길에 올라보니 지금 오르면 딱일 것 같은 곳이다.

 

오늘은 춘추문을 통과하여 청와대 경내에서 시작하는 북악산 코스로 올랐다.

 

주말이라서 그런지 정말 많은 인파가 북악산을 올라 일부 구간은 정체까지 있을 정도였다.

 

그러나 바램과 달리 미세먼지가 있어 조망이 깨끗하지 않아 아쉬웠지만, 서로를 챙기며 충분히 의미 있는 하루로 남을 것 같다.

 

곡장전망대에서 북악산(백악산)과 서울 남산
청와대 분수대
춘추문을 통과 청와대 경내에서 바라 보이는 북악산
창의문(자하문) 성곽길에 내려 앉은 가을과 북한산의 능선
북악산_2022-10-23_1001.gpx
0.09MB
경복궁역 3번 출구로 나와 연희김밥에서 아침거리로 김밥을 구매 후 경복궁 담장길 따라 청와대 분수로 이동한다. 10시가 조금 넘은 시간인데 청와대 관람 인파가 줄지어 걷고 있다.
도로변에 예쁜 꽃들이 만발하고
앞쪽으로 청와대 영빈관이 보인다.
청와대 앞 분수대, 뒤로 북악산이다. 날씨가 구름과 미세먼지가 섞여 뿌옇게 보인다.
8월 26일 점심 산책길에, 이렇게 쨍한 날을 기대했건만
분수대에서 인증 후 청와대 앞 도로를 따라 걷는다.
청와대 정문, 정말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연풍문을 지나고
춘추문을 통과한다.
춘추관 옆 민원실을 통과한 후
청와대 경내로 들어선다. 청와대 관람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예약자들이 바-코드를 인식 후 진입 할 수 있다. 이곳까지는 예약 없이 들어 올 수 있다.
춘추관 건물
북악산 등산로 입구 앞 안내도, 현위치 춘추관
춘추관에서 청와대 전망대까지 920M, 근거리에 있다.
곧장 청와대 담장 밖 도로 따라 된비알 오름이다.
잠시 후 청와대동쪽,  삼청동(한국금융연수원)에서 올라오는 길과 합류된다.
우리는 춘추관에서 오른 것이다.
춘추관안내소에서 190M 거리에 있다.
이후로도 담장길 따라 오르막길 진행이다.
곳곳에 이정표가 잘 정비되어 있다.
이어지는 오름길, 지난 몇일 사이에 더 붉게 물들었다.
백악산 정상이 보이기 시작하고
은행나무 쉼터에 도착
은행나무 쉼터 데크, 이곳에서 구매한 김밥으로 아침을 해결 해 준다. 앞쪽에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어 쉼터가 된 듯 하다.
2021년 4월 5일 청와대 개방을 하면서 심어졌나 보다. 은행나무 뒤쪽으로 전망대 데크가 조망된다.
식사를 끝내고 출발에 앞서 한 컷
저 뒤에 누구신지???
다시 걸어 볼까? 다른 애들은 벌써 앞서 가 버렸다.
북악산에도 단풍이 내려 앉았다.
백악정 앞 도착
청와대전망대 230M
전방에 백악정이다. 우측의 붉은색 단풍나무는 김대중 대통령, 이희호 여사 당시 식재된 것이다.
백악정에서 통문을 통과하여 계단을 오른다.
굳게 닫혀 있었던 철문이 개방된 것이다.
계단을 올라선 후 전망대갈림길에서 우측 일방통행 방향 진행이다. 만세동방을 가더라도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와 진행하게 된다.
우측방향 일방통행 진행이다.
위쪽 데크길이 청와대전망대 가는 길이다.
은행나무 쉼터 방향을 조망하는데, 미세먼지 때문에 흐리다.
조금전 쉬었던 은행나무 쉼터를 당겨 본다.
대통문 앞 초소에서
대통문에서 좌측 청와대 전망대 방향으로 진행 후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곳에서 좌측 청와대전망대 방향이다.
백악정/청와대전망대 방향 진행이다.
오늘은 날씨가 아쉽기만 하다.
경복궁과 광화문광장을 당겨 본다.
데크 따라 오른다.
옹기종기 모여 기다리고 있다.
깨끗한 조망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그래도 어제 토요일 보다는 훨씬 낫다.
10월 13일 점심 산책길 청와대전망대 조망이다. 이런 조망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이 사진을 대시 보여 주었다.
좌측 텐트가 세워진 곳이 춘추관 앞이다. 우측 아래 기와지붕이 청와대 본관이다.
청와대본관, 우측 앞쪽이 영빈관, 그리고 청와대 앞 분수대
10월 19일 점심 산책길 청와대전망대에서 남산을 조망해 본다.
이런 장면을 가족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는데, 지난 사진으로 대신해 보여준다.
오늘의 현실 조망이다.
전망대에서 '전망대 하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전망대 갈림길로 되돌아와 만세동방 방향 진행이다.
대통문으로 되돌아 왔다.
대통문에서 이제는 삼청안내소 방향 직진 내리막길이다.
삼청안내소갈림길 통과하여
만세동방 방향 직진이다.
이곳이 가장 힘들다고 할 수 있는 오름길이다. 그러나 금방이다.
진행길 우측으로 숙정문/말바위 능선이다.
나무데크 오름길도 나오고
다시 돌계단길
열심히 오르고 있다.
씩씩 거리며 오른다.
만세동방 이정표에서
돌계단을 올라서면
만세동방 약수터 쉼터에 도착한다.
만세동방에 대한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다.
만세동방 약수터에서 조망되는 단풍이다.
'만세동방 성수남극' 각자가 있는 만세동방 약수터
지금도 약수가 흘러 내린다. 음용적합 여부는 없다.
만세동방, 성수남극
만세동방 약수터를 출발하여 다시 오른다.
제대로 된 단풍나무다. 북악산에는 단풍나무가 많지 않다.
이어지는 계단길 오름 후
다시 '만세동방길2'로 내려서고
청운대쉼터 방향 진행
다시 잘 만들어진 데크길을 오른다.
전방으로 숙정문 성곽길 능선이다.
그 뒤로 군부대가 위치한 '구진봉'을 당겨 본다.
성북동 방향으로
구불구불 둘레길 형식의 기분이 좋아지는 멋진 길을 걷는다. 애들도 살방살방 잘 걷는다.
고갯길에 이정표가 나오는데
위 '만세동방길1' 지점 통과, 우리는 숙정문으로 갈 것이다.
청운대전망대로 올라선다.
'청운대전망대' 도착, 이곳에서 곧장 청운대쉼터로 치고 오르지 않고, 숙정문 방향으로 우회하여 곡장으로 오를 것이다.
청운대전망대에서 삼청공원 방향으로 조망이다.
청운대전망대를 내려서면 만나는
'전망대삼거리'에서 숙정문 방향 진행이다. 이곳에서 우측 삼청안내소로 내려 갈 수 있다.
길이 아주 아름답다.
'숙정문길1' 통과
약간의 오름이 있지만 전혀 어렵지 않다.
숙정문길2 지점 통과, 거리는 금방금방 줄어 든다.
숙정문 도착, 한양도성 4대문 중 하나인 북대문이다. 애들에게도 동대문,남대문을 쉽게 볼 수 있어도 북대문을 쉽게 볼 수 없는 곳에 있으니 이곳은 꼭 들렀다 가야 한다고 해서 데려온 것이다. 현재 서대문은 형태가 없고, 돈의문터로 남아 있을 뿐이다.
이제 곡장 방향으로 성곽길 따라 오른다.
왔으니 인증샷은 필수
숙정문에서 성곽길 따라 곡장으로 오른다.
삼청각과 성북동
날씨가 점점 맑아지고 있다.
숙정문 방향을 내려다 본다.
지난 6월 7일 올랐을 때 이렇게 깨끗했었는데
전방 커다라 나무가 서 있는 곳이 곡장전망대
곡장전망대 밑
6월 7일 당시 같은 지점에서 조망이었다.
곡장 전망대 도착
곡장에서 북악산과 인왕산 방향이다.
곡장전망대에서 북한산 방향으로
6월 7일 당시 곡장전망대
이제 곡장을 내려서 북악산 정상으로 진행한다.
편안한 성곽길 따라서
청운대삼거리 통과, 청운대전망대에서 청운대쉼터(화장실)로 곧장 오르면 이곳으로 올라오게 된다.
청운대쉼터, 화장실이 있다.
청운대쉼터를 뒤로 하고
청운대(293M) 도착
청운대에서 북악산 정상인 북악마루 조망
북악산 정상부 백악마루 260M
1.21사태 소나무, 그날의 총탄 흔적이 고스란히 보존되고 있다.
백악마루로 오르면서 곡장을 뒤돌아 본다.
급된비알길 오름에 모두 힘들어 한다.
백악마루 정상 직전 좌측 아래로 성북동이다.
백악산(342M) 정상 도착, 이곳을 '백악마루'라 부른다.
창의문(자하문) 방향 하산길에 조망되는 북한산이다. 중앙에 있는 동네가 평창동이다.
급내리막길은 내려서기도 힘들다.
전방으로 인왕산이다.
오늘 인왕산까지는 오르지 않는 것으로
내려온 백악마루 성곽길을 뒤돌아 본다.
창의문안내소 도착
경복궁역으로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