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산하/2021년도

고창 선운산(주차장-선운사-석상암-마이재-선운산수리봉-포갠바위-선운사-주차장)

고창 선운산

산행 일자 : 2021년 8월 13일(금)

산행 구간 : 선운사주차장-선운사-석상암-마이재-수리봉 정상-포갠바위-선운사-선운사주차장 원점회귀(약 7Km)

함께한 이 : 왼발, 오른발 부부

 

 

2021년 여름휴가 첫날을, 1일 3산으로~

작년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더믹이 아직도 진행중이다.

전국적으로 4단계 격상으로 가능하면 집안에 머물러 줄 것을 바라고 있다.

많은 고민 끝에 최대한 우리 가족끼리만 어울릴 수 있는 곳으로 떠난다.

2박 3일

 

애들은 열차를 이용하여 숙소로 바로 오기로 한다.

부부는 새벽 03:00 집을 나선다.

가능하면 사람들이 없는 시간을 택하기 위하여 일찍 서두를 수 밖에 없다.

애들은 오후에 조인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부부는 오전 중으로 1일 3산을 진행해야 한다.

그래서 최단코스로 정상을 오를 수 있는 세 곳을 선택한다.

우리 여행지 목포에서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1코스 고창 선운산(약 7Km), 2코스 강진 덕룡산(약 1.6Km), 3코스 해남 두륜산(약 5.4Km)

 

서해안고속도로를 따라 내려가는 중간 지점 고창 선운산

06:00 산행시작을 목표로 이동한다.

선운산 최단코스 석상암 코스로~

 

05:50 선운사소형주차장 도착, 예상 시간보다 10여분 일찍 도착한 것이다. 최대한 간단한 차림으로 선운산 수리봉을 향해 출발한다.
소형주차장에서 선운사 1.05Km 방향 진행한다.
관광안내소를 지나면서
좌측에 있는 송악을 우선 확인하고 진행한다.
송악, 내려 올때 사진을 찍기로 한다.
보행자전용로를 따라 진행한다. 이른 새벽인데도 날파리와 모기 때문에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다. 
우측으로 수리봉(좌)과 경수산 방향(우)이 조망된다. 가운데 움푹 들어간 곳이 마이재이다.
조금더 우측으로 우체국연수원에서 진입할 수 있는 경수산 방향이다.
얼굴 주변에 윙윙거리며 맴도는 날파리와 모기 때문에 정신이 하나도 없다.
보행자도로 우측에 삼인리고인돌
06:01 매표소, 이른 시간입에도 직원이 근무를 하고 있다.
무인발권기에서 매표를 한다.
입장료 4,000원, 다른 곳에 비해서 비싸다.
매표소를 지나 '도솔산선운사' 일주문을 통과한다.
공식 인증샷
일주문을 통과해 선운사 경내로 들어선다.
06:04 도솔암갈림길에서 우측 선운사 방향 진행한다.
이른 새벽이라 아무도 없다. 윙윙거리는 날파리와 모기를 빼고는
우측으로 선운사 부도탑
더 당겨 본다.
좌측 도솔천으로 냇물이 시원스레 흘러 내린다.
06:06 선운사 도착, 선운산 최단코스로 진행하기 위해서 우리는 선운사 담장 우측을 따라 석성암으로 진행한다.
이정표에서 우측 수리봉 방향 진행이다. 석상암 0.7Km, 마이재 1.4Km, 수리봉 2.1Km
석상암까지는 임도길 따라 진행한다.
06:08  석상암 입구 표지석 통과
진행길 우측으로 차밭이다.
시멘트 포장길을 지나고
06:14 석상암 입구 산행들머리 도착
마이재까지 0.7Km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우측에 석상암이 있지만 그냥 패스한다.
등로는 완만한 오름길로 진행된다.
06:29 마이재 직전,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진행할 경우 마이재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수리봉으로 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직진 마이재로 진행한다.
06:30 마이재에 도착한다.
마이재에서 수리봉까지 0.7Km, 우측 경수봉에서 2.2Km 지점
반대편 심원면 2.5Km
좌측 수리봉 방향 능선길로 진행한다.
06:31 마이재 직전 갈림길에서 진행해 오는 길과 합류되어 계속 능선길 진행이다.
곳곳에 이정목이 설치되어 있다.
능선길에 들어서니 바람끼가 있어 시원스럽다.
나즈막한 오르막이 이어지고
돌멩이길이 나오는가 싶더니
06:42 선운산 수리봉 도착한다. 주차장에서 약 50여분 소요되었다.
선운산 수리봉(336M)
정상석 좌측 뒷편 조망바위로 나가 본다.
좌측 저 멀리 견치산이다. 견치산은 수리봉에서 우측 아래 능선길로 내려선 후 견치산까지 2.53Km 방향으로 오름길 진행이다.
우측 심원면 방향, 손에 들린 것은 스틱이 아니고, 거미줄 제거를 위해서 하나 손에 들고 온 것이다.
바다 건너 저 멀리는 부안군 변산 곰소만 방향이다.
다행히 깨끗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조망이 트인다. 만약 조망이 흐릴 경우 다시 마이재로 되돌아가는 코스를 선택했겠지만, 이런 조망이면 포갠바위 방향으로 진행해도 될 듯 싶어서 포갠바위를 지나 선운사로 내려가는 코스를 선택한다.
06:49 수리봉에서 참당암 방향 능선길을 따라 진행한다.
등로상태는 매우 좋다.
06:50  참당암갈림길 통과
우리가 가고자 하는 포갠바위를 가기 위해서는 좌측 참당암 방향 진행이다. 우측은 견치산으로 가는 내리막길이다.
참당암으로 가는 능선길 또한 양호하다.
06:53 좌측 조망처로 보이는 선운사주차장 방향이다. 이미 일출은 시작되었으나, 구름이 많다.
다시 앞서던 옆지기가 여기는 더 잘 보인다고 한다.
그렇네, 이곳에서는 선운사까지 조망된다.
선운사를 최대한 당겨 담아 본다.
06:54  몇 발작 더 가니 이제는 전망데크가 있다.
전망데크에서 조망이 더 낫다.
다시 선운사 경내를 당겨 본다.
우측 도솔제 뒤로 '안장바위'가 조망된다. 계곡사이에 구름이 갇혀 멋진 풍경을 연출해 준다. 우측으로 비학산이다.
자꾸 눈이 간다. 이쪽으로 오지 않았으면 놓칠 수 밖에 없는 풍경이다. 
자 이제 서둘러 내려 갑시다. 오늘 할 일이 많습니다.
07:01 포갠바위 통과
포갠바위
포갠바위 뒷모습
잠깐 능선길을 따르면
07:02 우측으로 더 멋진 조망처가 나오는데, 최고의 조망이다. 예전 견치산에서 봤던 조망과는 또 다르다.
선운산 최고의 조망처가 아닌가 싶다.
이런 멋진 풍광을 보게 될 줄이야~
그래 만세를 불러도 될듯
핸드폰으로 담아 본다.
정말 멋진 조망이다.
우측 아래가 참당암이며, 그 뒤로 견치산이다.
07:07 견치산과 참당암을 다시 한번 조망하고 하산을 서두른다.
이제부터는 내리막길 진행이다. 조심조심
07:10 나무계단을 내려서면
길이 좋아지면서
07:11  참당암갈림길 통과한다. 
우리는 좌측 선운사 1.65Km 방향 진행한다.
참당암은 우측 방향 진행이다.
선운사 방향 내리막길에 전방으로 안장바위가 조망된다.
더 당겨 본다.
안장바위만 담아 본다.
07:15  내리막길에 소원바위도 지나고
내려서면서 뒤 돌아 보니 꽤나 내리막길이다.
07:19 도솔암에서 내려오는 임도길과 합류되어 좌측 선운사 방향 진행이다.
포갠바위에서 530M 내려선 것이다.
이제부터는 임도길 따라 선운사로 내려가면 되는 것이다.
07:24 선운사템플스테이를 지난다.
템플스테이 뒤로 우리가 지났던 전망데크 조망처가 아닌가 싶다.
07:25  임도길을 버리고 좌측 선운사, 공원주차장 방향 선운천 따라 진행한다.
계곡물이 시커멓게 보이는 이유는 주변의 나무와 도토로 열매 등 여러가지 요인 때문이라고 한다.
07:33 선운사 천왕문 통과
선운사 천왕문, 다음 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경내 관람을 패스한다.
07:37 일주문을 통과한다.
07:45 고창 삼인리 송악
송악 앞에서 인증합니다.
입구 분재공원
선운사버스터미널과 편의점도 영업전이다.
07:50  선운산도립공원, 선운산 최단코스 산행을 이렇게 마무리 한다. 아직 이른 시간이라 주변 편의점도 영업전이다. 간단히 옷만 갈아 입고 두번째 산행지 강진 덕룡산을 향해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