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일상/일상속으로

행주산성

행주산성

2020년 7월 25일(토)

 

장마가 한창인 이때 잠깐 너무나도 청명한 날씨에 계획에 없던 나들이를 나선다.

예전 애들 어렸을때 한두번 가본적이 있다.

오늘은 부부 단둘이 조촐하게 집을 나선다.

강변북로 따라 달리는 내내 파란 하늘에 흰구름 둥둥 떠 있는 그림이 맘을 설레게 한다.

 

행주산성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덕양산의 7, 8부 능선에 쌓은 테뫼식(山頂式) 성으로 흙을 이용한 토축산성입니다. 사적 제5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덕양산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으로 뻗은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外城)의 이중구조로 강안의 험한 절벽을 이용하고 동·북·서로 전개된 넓은 평야를 감싸고 있는 형태는 삼국시대 초기의 산성형식과 같습니다..

현재 성벽은 산 정상부의 동남쪽 사면과 외성부의 동북쪽 성벽뿐이며, 북서쪽 방면은 내성은 확인되나 외성 성벽은 확인할 수 없습니다..

성벽은 내성의 경우 정상부를 깎아내어 다듬은 뒤에 둘레 약 250m 정도의 토루(土壘)를 형성하고 있으며, 정상에서 동북쪽의 산등성이를 따라 외성의 자취가 남아 있습니다..

성안에서는 삼국시대의 적갈색 연질토기와 회청색 경질토기 등의 조각을 비롯하여 어골문(魚骨文), 수지문(手指文)이 새겨진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어 고려시대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행주산성은 1593년(선조 26) 권율(權慄) 장군이 대승을 이룬 전적지로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을 이룬 곳입니다. 현재 성안에는 복원된 415m의 토성의 성곽과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가 있으며,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작업으로 권율장군의 사당인 충장사(忠壯祠) 등을 건립하여 현재의 모습을 구축하였습니다.

행주산성 관람 안내도
제2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오르니, 평화누리길, 고양누리길4코스 스탬프를 통과한다.
대첩문
행주산성 안내도
입장료 무료
대첩문을 들어서자
우측에 충장공권율도원수 동상
아들과 함께 온 한 가족이 내역을 읽고 있다.
오름길에 우측 충장사를 먼저 들러본다.
삼도삼문
충장사는 코로나-19 여파로 휴관이다.
아쉬움에 담장 넘어로 충장사를 담아 본다.
가을에 오면 단풍이 참 예쁠것 같다.
삼거리를 만나
우측의 대첩기념관을 들러 본다.
대첩기념관, 역시나 코로나 여파로 휴관이다.
대첩기념관 위로 너무나 청명한 하늘이다.
오름길 내내 풍광이 예술이다.
방화대교와 마곡지구
중앙부 뾰족한 봉우리가 소래산인가?
우측 저 멀리로 인천 계양산
계양산을 더 당겨 본다.
우측 진강정을 내려갔다 다시 올라온다. 
진강정
조망이 좋지는 않다.
다시 진강정 갈림길로 올라 왔다.
대첩비각(좌)과 신행주대첩비(우)
좌측에 있는 덕양정을 먼저 들러 본다.
덕양정 천정
덕양정에서 조망되는 자유로 서울방향
쾌청한 날씨에 많은 차량들이 나왔다.
여의도와 그 뒤로 청계산
서울 남산 뒤로 잠실 롯데타워와 우측으로 남한산성 능선이 조망된다.
행주대첩비로 오른다.
대첩비각과 신행주대첩비
북한산이 온전하게 조망된다. 좌측 삼각산에서 우측 문수봉 방향으로
북한산 좌측으로 이어지는 도봉산을 당기니 흐릿하다.
충의정(영상교육관)
충의정에서 조망
공항철도가 운행되고 있다. 우측으로 관악산이 조망된다.
북한산국립공원 방향
노적봉에서 도봉산을 거쳐 북한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성산대교 우측으로 새롭게 건설중인 월드컵대교(현수교) 공사가 한창이다.
멋진 포토존이다.
덕양정과 방화대교
행주대첩비각과 덕양정, 방화대교
신행주대첩비
김포방향 한강하류
우측에 검은 연기가 피어나고 있다.
전방이 김포 문수산
행주대교
인터넷 기사를 보니 일산의 폐차장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한다. 인명사고 없이 빠른 진화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번 뒤 돌아 보고
토성으로 내려선다.
행주산성 토성
무슨 비각인가?
행주기씨 유허비
기감천
행주산성을 나서면서 다시 한번  충장공권율도원수 동상을 담아 본다.
점심은 보리굴비 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