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대간(왕복종주)/백두대간(북진)

백두대간 제21구간(하늘재~모래산~탄항산~평천재~부봉삼거리~동암문~마역봉(마패봉)~조령3관문~(조령1관문)

백두대간 제21구간

산행일자 : 2016년 4월 10일(일)

산행구간 : 하늘재~모래산~탄항산~평천재~부봉삼거리~동암문~마역봉(마패봉)~조령3관문~(조령1관문), 9.39+4.3Km, 4시

간20분

함께한 이 : 왼발,오른발 부부

 

 

 

하늘재에서 오늘 진행방향 반대편 우측으로 조망되는 포암산

 

하늘재 초소, 이곳에서 좌측은 부봉 방향, 우측은 포암산 방향이다.

 

계림령 유허비

 

하늘재 산장 전경

 

나무 계단을 올라 하늘재 표지석으로 오른다.

 

포암산 등산 안내도

 

하늘재공원지킴터, 아직은 근무하는 직원이 없다.

 

오늘은 부봉 방향 남진으로 진행한다.

 

하늘재 표지석에서 건너편 포암산 조망

 

 

 

 

 

 

 

 

 

 

 

 

 

 

 

 

우리도 한컷 남기고 출발한다.

 

 

 

 

사람들이 모두 떠난 후 하늘재 표지석을 담고 출발한다.

 

모래산, 주변이 온통 모래로 되어 있다.

 

 

모래산 이정표

 

모래산 삼각점

 

 

 

 

 

 

 

 

 

비문처럼 보이지만 아무런 글자도 없다.

 

 

 

 

 

 

하늘재에서 1.5Km 진행

 

 

 

 

 

 

 

 

 

 

 

 

뾰족봉이 주흘산이다. 대간길에서 벗어나 있다.

 

탄항산(856M)

 

하늘재에서 1.9Km 지점

 

 

 

 

 

 

 

평천재 직전 이정표

 

평천재 통과

 

평천재는 하늘재에서 3.0Km 지점

 

 

계단길을 오르면

 

주흘산갈림길, 이정표 방향표시 없는 곳으로 주흘산으로 연결되나, 비탐구간이다. 부봉삼거리 1.0Km 남은 지점

 

잠시 쉬어간다. 이정표 없는 방향으로 주흘산이 이어진다.

 

부봉삼거리 0.6Km 지점 통과

 

부봉이 조망된다.

 

계단을 내려서면서

 

 

 

 

 

 

 

부봉삼거리, 좌측으로 0.5Km 왕복 후 마패봉 방향 진행이다.

 

 

나무계단을 올라선 후

 

 

밧줄 오름이 이어지고, 겨울철에는 위험하지만 지금은 괜찮다.

 

 

부봉에 올라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본다.

 

부봉 정상

 

 

 

 

 

 

 

 

 

 

 

 

 

 

 

 

 

 

 

 

 

 

 

 

 

 

 

 

 

 

 

 

 

 

 

부봉삼거리에서 0.4Km 진행

 

 

동암문 통과

 

제3관문 방향 직진 진행이다.

 

 

마패봉 방향 진행

 

 

 

 

 

 

 

 

 

 

 

 

 

 

 

 

 

 

 

 

 

 

 

 

 

이곳부터 된비알 오름이다.

 

 

 

마패봉(920M) 도착, 좌측 조령3관문 방향 내리막 진행이다. 방향표지 없는 직진방향은 신선봉 진행이다.

 

 

 

 

 

 

 

 

 

 

 

 

 

 

 

 

 

 

 

 

 

 

 

 

 

 

조령3관문 건너로 신선암봉에서조령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조망

 

신선봉 방향

 

 

마패봉에서 내리막이 급경사지로 위험하다.

 

 

 

 

 

 

 

 

조령3관문 도착

 

 

 

 

오늘은 조령2관문을 거쳐 1관문으로 내려갈 것이다.

 

 

 

 

영남제2문

 

조곡관이다.

 

 

 

 

제2관문 이정표, 주흘산은 5.0Km

 

조곡폭포

 

 

 

 

 

 

 

 

 

 

 

교귀정

 

 

 

 

 

지름틀바우

 

 

영화세트장

 

 

 

 

 

 

 

 

주흘관

 

 

 

영남제1문, 주흘관에서 주흘산으로 오를 수 있다.

 

영남제1문

 

주흘관

 

 

마패봉을 뒤돌아 본다.